2기 신도시 총 보상비 53조원 가까이 돼 |
1년전 추산에 비해 6조원 넘게 늘어
|
주택난 해소를 위해 건설중인 2기 신도시에서 이미 풀렸거나 앞으로 풀릴 보상비가 총 53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는 지난달 새로 지정된 검단2와 오산 세교는 제외된 것으로 이들까지 포함할 경우 58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8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수도권 10개, 충청권 2개 등 2기 신도시 12개 건설을 위한 사업비는 총 109조4000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이는 올 초 정부가 추정했던 104조2천억원에 비하면 5조2000억원이나 늘어난 것으로 토지보상비 증가 등으로 인해 동탄2신도시에서 2조7000억원, 고덕 국제화도시(평택)에서 1조3000억원 등이 늘어났다.
사업비 규모를 보면 동탄2가 16조8000억원으로 가장 많고 파주도 14조8000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고덕 국제화 9조6000억원 ▲광교 9조4000억원 ▲아산 9조1000억원 ▲검단1 8조8000억원 ▲김포 한강 8조8000억원 ▲위례(송파) 8조5000억원 ▲양주(옥정.회천) 8조4000억원 ▲판교 8조원 ▲동탄1 4조2000억원 ▲대전 3조1000억원 등이다.
사업비중에서 토지보상비는 총 52조9000억원이 될 것으로 국토부는 추정했다.
이는 작년 10월 국토부가 동탄2를 제외한 11개를 대상으로 추정한 보상비(38조8000억원)보다 14조1000억원이 증가한 것이다. 동탄2를 제외할 경우 45조원으로 6조2000억원 순증했다.
동탄2 7조9000억원으로 보상비 가장 많아
국토부는 사업비와 보상비가 늘어난 데 대해 "막상 개발이 진행되다 보면 보상금이 늘어나고 인건비, 건축비 등이 오르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가장 많은 보상비가 풀릴 지역은 단연 동탄2로 7조9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국토부는 추정했으며 파주에서도 7조2000억원이 보상될 것으로 내다봤다.
또 위례 5조5000억원, 검단1 5조원, 김포한강. 광교. 양주 각 4조3000억원, 아산 4조2000억원, 고덕 국제화 3조7000억원, 판교 3조6000억원, 동탄1 1조1000억원 등이다.
새 정부에서 새로 지정된 검단2와 오산 세교는 사업비가 각각 5조9000억원, 4조7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국토부는 일단 추정했다.
통상 신도시 개발때 보상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 가량 되는 것을 고려하면 일단 이들 신도시에서도 5조원 이상의 보상비가 풀릴 전망이지만 개발이 진행되면서 더 늘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기본 정보 > 부동산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전관리지역에도 골프장 짓는다 (0) | 2008.09.09 |
---|---|
토지시장 '일시불 거래' 증가 (0) | 2008.09.09 |
'대수도론' 다시 고개드나? (0) | 2008.09.07 |
서울·경기 오갈 때 인천시민도 환승할인 (0) | 2008.09.07 |
인천 '루원시티' 거주민 내달부터 본격이주 (0) | 2008.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