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도시재생 선도사업인 가정오거리 도시개발구역의 중·대형 아파트 공급이 대폭 축소된다.
시는 다른 대형 도시재생사업에서도 중·대형 아파트 비중을 최소화하기로 해 민간부문의 개발참여에도 영향이 적잖을 전망이다.
시는 가정오거리 구역의 전용면적 85㎡ 초과 아파트 공급량을 당초 1만1천364가구 중 4천431가구(39%)에서 1만1천291가구 중 650가구(5.8%)로 줄이기로 했다고 27일 밝혔다.
대신 전체 공급가구의 94.2%인 1만640가구를 85㎡이하 중·소형 아파트로 지을 계획이다.
60㎡이하가 4천130가구(36.5%), 60~85㎡가 6천510가구(57.7%)다.
당초 계획가구가 1만1천364가구였을 때 85㎡이하 아파트는 6천933가구로 전체의 61%였다.
시 관계자는 "구역 내 주민들이 살고 있는 집이 대부분 소형이라 85㎡ 초과 물량이 많아서는 주민 재정착 대책을 세우기가 어려워 주택공급 계획을 대폭 수정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가정오거리 구역 내 주택은 총 7천247가구로 이 중 6천315가구(87.2%)가 전용면적 60㎡ 이하다. 50㎡이하인 집도 5천36가구(69.5%)나 된다.
시는 새 아파트의 면적 중 주민들의 현 거주면적만큼은 분양원가로 싸게 공급하기로 했지만 재정착 대상이 워낙 많아 85㎡ 이하 아파트를 최대한 늘리기로 한 것이다.
가정오거리 구역 주민들은 일단 시의 방침을 환영했다.
최대 주민조직인 '가정동연합대책위원회' 박문봉 위원장은 "주민 대부분이 지급받은 보상금으로 새 아파트를 분양받기 어려운 상황에서 시가 중소형 공급을 늘린 것은 잘된 일"이라며 "그러나 더 안정적인 재정착을 위해 분양원가 공급범위가 더 늘어야 한다"고 말했다.
시의 중·대형 아파트 축소방침은 경인고속도로 가좌IC주변과 인천역·동인천역·제물포역 주변 뉴타운 등 다른 도시재생사업에서도 적용된다.
시 관계자는 "구도심에서는 주민 재정착에 역점을 안 둘 수 없는데다 향후 중·대형 아파트 수요가 급감할 것으로 예상돼 다른 곳에서도 중·대형 건축은 최대한 줄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시가 대부분의 도시재생사업에 민간자본을 활용하기로 한 터라 중·대형 공급축소 방침으로 민간사업자의 사업참여가 위축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노승환기자 (블로그)todif77
'기본 정보 > 부동산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강화조력발전소 홍수피해 키워" (0) | 2008.08.29 |
---|---|
수인선 중구 노선변경 '관심 집중' (0) | 2008.08.29 |
“앞으로 규제 더 풀릴 것” 부동산시장 기대감 확산 (0) | 2008.08.22 |
인천 한들지구 개발 마찰 (0) | 2008.08.22 |
일산에 수도권 최대 신도시 (0) | 2008.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