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부동산 뉴스

“앞으로 규제 더 풀릴 것” 부동산시장 기대감 확산

복돌이-박 창 훈 2008. 8. 22. 21:19

“앞으로 규제 더 풀릴 것” 부동산시장 기대감 확산

‘8·21 대책’ 이후

 

관망세 속 “소형·임대주택 의무비율 곧 완화” 얘기 나돌아

“재건축 규제의 빗장이 일단 열렸으므로 앞으로 규제는 더 풀릴 것이다. 가격 상승을 기대하고 있다.”

대표적인 재건축 후보지로 꼽히는 서울 송파구 잠실주공아파트의 한 집주인 얘기다.

정부가 ‘8.21 부동산대책’을 통해 재건축 관련 규제를 크게 완화했지만 부동산 시장의 반응은 의외로 무덤덤한 편이다. 하지만 서울 강남권의 재건축 기대가 큰 아파트단지의 집주인들 사이엔 추가 규제완화의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다. 안전진단 절차의 간소화, 층수 제한 완화 등 정부가 지난 21일 발표한 내용에 더해 용적률과 임대주택 및 소형주택 의무건축비율 등도 곧 완화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특히 정부가 다음달초 발표할 예정인 종부세, 양도세 등 부동산 관련 세제의 개편안에도 기대를 거는 모습이다.

»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맨 왼쪽)이 지난 21일 국회에서 임태희 한나라당 정책위의장(맨 오른쪽) 등 당직자들과 부동산 시장 활성화 대책과 관련해 당정회의를 하고 있다. 뉴시스
서울 송파구 잠실 주공5단지의 부동산중개업소에는 8.21 대책 발표 직후 112㎡(33평형) 아파트가 10억8천만원에서 11억원으로, 119㎡(36평형)는 12억5천만원에서 12억8천만원으로 2천만~3천만원 정도 호가(부르는 값)가 오른 상태에서 매물이 나오고 있다. 송파공인중개소의 최명섭 사장은 “집주인들은 2년간 집값이 내리다가 모처럼 호재가 나오니까 들떠서 호가를 올리고 있다”며 “앞으로 소형아파트·임대주택 의무비율 폐지, 부동산대출규제 해제 등에 더 기대를 걸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재건축 시장에서 집을 사려는 움직임은 거의 없다. 조합원 지위양도 금지 규정에 묶여 집을 팔지 못하고 있던 일부 재건축 단지에서 자금 압박을 받고 있는 매물이 조금 나오고 있는 정도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의 엘리트공인중개소 관계자는 “재건축 안전진단 완화, 조합원 지위양도 가능 등 이번 부동산 대책에는 호재가 꽤 있는데도 아직 실질적인 매수 움직임은 없다”며 “은마아파트 가격 동향을 묻는 언론사의 전화만 받고 있다”고 말했다. 개포주공도 매수 문의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다만 “조합원 지위양도금지 폐지 이후 매물을 내놓겠다는 문의는 몇건 있어 앞으로 이런 매물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이곳의 행운공인중개소 관계자가 전했다. 송파구 가락시영, 강남구 역삼동 개나리5차 등 다른 재건축 단지에서도 21일부터 곧바로 조합원 지위 전매금지 조처가 풀리면서 자금압박을 받고 있던 집주인들의 매물이 몇건 나오기 시작했다. 그러나 재건축 시장의 전반적인 분위기는 여전히 ‘관망우위’다

 

김은경 스피드뱅크 리서치팀장은 “서울과 경기권의 중대형 아파트 가격이 내리고 있고, 경기 침체도 계속되고 있어 웬만한 호재로는 아파트값 반등이 쉽지 않는 상황”이라며 “하지만 강남 재건축은 집값 불안의 불씨가 될수있는만큼 추가적인 규제 해제와 같은 정책 결정은 신중하게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허종식 선임기자 jong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