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부동산 시장, 회복기 추세”
|
각국 전문가, “상업용·프리미엄 중심으로 가격 상승”
|
최근 부동산 침체는 우리나라만의 고유한 구조적 문제며, 시장은 회복기에 접어들었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나왔다.
또 앞으로 국내 인구감소와 친환경 건축이 큰 이슈가 될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와튼스쿨 글로벌 동문 포럼은 지난 28일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부동산 : 거품이 꺼지는 것인가. 예측할 수 있는 주기인가’란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피에트로 도란 도란캐피탈파트너스 회장과 김관영 제이엘자산관리회사 대표, 곽룽 홍초이 링크매니지먼스 대표 등 각국 부동산 전문가들은 국내 부동산 시장이 천안함 등 북한 문제에도 상업용과 프리미엄을 중심으로 회복하고 있다고 의견을 모았다.
나오시 오기쿠보 다이아몬드리얼티 사장은 “지난해부터 한국 부동산 가격이 올라가면서 한국 투자가들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일본 부동산을 사 모으고 있다”며 “이는 한국 부동산 시장이 회복하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날 참석자들 중에서는 최근 부동산 시장의 침체는 한국만의 고유한 구조적인 문제로 경기 주기나 거품 붕괴 때문이 아니라는 전문가도 있었다.
피에트로 회장은 “다른 나라와 달리 한국 부동산 시장은 대출 규제, 공공주택 건설 등 정부 정책의 영향을 매우 크게 받는다”며 “글로벌 위기와 상관이 없는 한국의 문제는 부동산 시장이 서울과 그 나머지로 구분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안재현 SK D&D 사장도 “한국은 국제 경제위기에서 가장 빨리 회복했지만, 시장이 복잡해지면서 부동산 투자가 쉬워지지 않았다”며 “최근 국제 경제와 한국 부동산시장은 분리되고 있다”고 말했다.
안 사장은 또 부동산 시장의 불안요소로 한국의 인구 감소를 들며 “올해부터 베이비 붐 세대가 은퇴하면서 큰 집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집을 팔고 현금화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윤동 씨비리차드엘리스코리아 대표는 정부 차원에서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인센티브와 함께 투자자본도 이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앞으로 10년 동안 유지에 에너지가 많이 필요한 초고층 빌딩은 많이 생기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주택신문 이명철 기자 lmc@housingnews.co.kr
'기본 정보 > 부동산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저절로 피는 꽃은 없습니다. (0) | 2010.06.01 |
---|---|
[스크랩] ‘부실의 덫’ 미분양 해결할 묘수는 (0) | 2010.05.29 |
[스크랩] 2차 보금자리 무더기 미달… 흥행 실패 왜? "분양가 비싸고 전매제한 길어" 청약 기피 (0) | 2010.05.28 |
[스크랩] [부동산칼럼]재건축 규제를 풀어야 하는 이유 (0) | 2010.05.28 |
[스크랩] “정말 부동산불패 신화는 막을 내리는가?” (0) | 2010.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