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부동산 칼럼

"남북교류벨트 '파주' 빛본다"

복돌이-박 창 훈 2009. 12. 19. 19:23

"남북교류벨트 '파주' 빛본다"

 

초광역권 4대 벨트 개발 확정

전문가들, 남북교류접경벨트 유망…섣부른 투자는 금물

 

지난 2일 국토해양부는 지역 산업단지와 관광지 조성 등을 뼈대로 한 ‘동·서·남해안권 초광역개발’의 기본구상안을 확정해 발표했다. 이는 5대 광역경제권과 2대 특별경제권(5+2)의 광역경제권 조성·기초생활권 지원 등 이명박 정부가 제시한 세 가지 지역개발 정책 가운데 하나다.

이번 구상에 따라 남해안 선벨트(부산·경남·전남·제주)은 향후 동북아 산업 및 물류, 관광 등의 경제허브로 거듭나게 된다. 즉 해양경제·물류와 해양관광을 중심으로 한 개발이 추진돼, 조선·우주항공·석유화학 등 기간 산업단지를 육성하고, 부산·광양에는 항만시설을 확충하기로 했다. 동해안 에너지?관광벨트(울산·강원·경북)에는 울진·월성·고리의 원전과 울산의 석유화학단지, 삼척의 천연가스(LNG) 생산기지 등을 조성하기로 했다. 설악~금강권, 경주권을 잇는 국제 관광거점도 키우기로 했다.

서해안 신산업벨트(인천·경기·충남·전북)는 동북아 국제비지니스 거점으로 거듭난다. 인천공항을 이용해 관광과 컨벤션, 비즈니스, 쇼핑을 결합한 복합 업무·컨벤션단지를 조성해 국제 비즈니스 거점으로 키운다는 구상이다. 한편 남북 접경지역에 조성되는 남북교류접경벨트는 ‘평화에코벨트’로서, 남북 교류 사업과 생태 환경 산업이 중심이 되는 ‘평화에코벨트(남북교류 접경벨트)’로 조성된다. 이에 따라 DMZ에 존재하는 희귀생태자원과 문화유산을 세계 공동자산으로 활용하기 위해 DMZ 일원을 생태관광벨트로 육성하고, 이 일대에 대한 국제적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판문점을 중심으로 UN평화회의장을 유치하는 등 국제사회가 참여하는 평화 상징공간을 중장기적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이밖에 장기적으로 단절된 기간교통망을 연결하여 동서/남북 간 물류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며, 국토 중앙으로서의 입지여건을 십분 활용한 산업형·물류형·관광형 남북교류협력지구도 조성된다.

한편 부동산 투자전문가들은 이번 구상대로 지역별 발전이 추진될 경우 수도권과 인접한 남북교류접경벨트가 투자 유망지로 떠오를 것이라 전망하면서도, 구체적 사안이 확정되지 않은 현재 시점에서의 섣부른 투자보다는 유망 지역에 대한 꾸준한 탐색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지목114 전종철 대표는 “서울의 주택 시장에서 강남이 늘 중심이듯, 토지시장에서 중심은 늘 수도권이라는 점을 간과하면 안 된다. 남북교류접경벨트 내에서는 파주시가 투자자들의 주목을 살 만하다. 경기도가 추진 중인 비무장지대 평화생태공원 조성과 유네스코 생물권지역 지정 등 관련 사업이 탄력을 받을 경우 최대의 수혜지가 될 것이다. 그러나 이번 계획이 비수도권의 민심 달래기용인지, 의지를 가지고 추진하는 일인지의 여부는 좀 더 지켜봐야 되며, 사업이 구체화되기 전까지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 전망했다.

또 투모컨설팅 강공석 대표는 “남북접경지역의 평화에코벨트와 서해안지역의 신산업벨트 지역이 주목할 만하다”면서, “남북접경지역은 수도권임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인 박탈감을 안고 개발이 극히 제한적이었던 곳으로서, 이번에 토지 활용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향후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이다. 또한 서해안 신산업벨트 역시 황해경제자유구역 등과 맞물려 시너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경기북부의 접경지역, 서해안 신산업벨트의 인천, 파주, 평택, 새만금 등은 직접적인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이며, 특히 파주의 경우 북한의 개성공단과 비견되는 ‘첨단산업부품지구’ 조성사업으로 통일 대한민국의 첨병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그러나 최근 국책사업들이 개발과 관련한 정치적 암초를 만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며, 다소 정치색이 있는 부동산 발표는 시장으로 연결되기 어려운 측면이 존재하는 것 또한 사실이다. 따라서 초광역권 4대 벨트로 인해 부동산 시장의 반전을 크게 꾀하기란 어렵지 않을까 전망된다”며 섣부른 투자 판단은 자제할 것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