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인천 재개발·재건축

[스크랩] [인천 도시재생사업 현주소](下)기한만료 임박 사업 백지화 위기

복돌이-박 창 훈 2009. 11. 12. 19:55

[인천 도시재생사업 현주소](下)기한만료 임박 사업 백지화 위기

 

산업화 시대 경인전철과 경인고속도로를 따라 시가지가 형성된 인천은 현재까지 전국에서 주거환경이 가장 열악한 지역으로 손꼽힌다.

이에 인천시는 지난 2004년 전국 최초로 도시재생과를 신설하는 등 구도심 재생사업에 행정력을 집중하지만 가시적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도시균형발전을 목적으로 하는 도시재생사업의 당위성은 인정되지만 낮은 사업성과 수용 방식의 공영개발을 반대하는 주민과의 이해관계가 쉽사리 풀리지 않기 때문이다.

가좌IC 주변 조감도

 

시는 현행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만으로 사업 추진에 한계가 있다며 정부에 보다 강력한 제도적 지원을 할 수 있도록 ‘도시재생활성화법(가칭)’ 제정을 건의해 놓은 상태다. 또 현재 추진 중인 8개 도시재생사업 중 주민 반대로 진척되지 못하는 4개 사업지구(인천역, 동인천역, 가좌IC, 제물포 역세권)에 대한 설문을 통해 개발 여부를 최종 결정할 방침이다.

◇ 인천의 롯본기 가좌지구 = 경인고속도로 가좌IC 주변지역은 과거 1960년대 수출산업의 기반을 마련한 대표적 공업지대다. 지금은 노후된 주택과 영세한 공장들이 5대 3 비율로 혼재해 있어 경인고속도로 직선화 사업과 맞물려 개발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는 지역이다.

시는 지난 2007년 서구 가좌동 556-1번지 일원 68만1000㎡를 가좌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하고 개발계획을 수립 중이다. 시는 이곳에 도쿄 롯본기힐스의 모리빌딩을 벤치마킹한 건축물을 세워 2014년 개통 예정인 도시철도 2호선 환승시설로 활용할 계획이다. 또 도심 공해를 일으키는 화학 및 전통 제조업 중심의 공장 대신 첨단 지식산업의 아파트형 공장과 대규모 녹지공간이 조성된다.

시는 엘에이치(LH)로 이름을 바꾼 한국토지공사와 인천도시개발공사를 총괄사업자로 지정해 오는 2015년까지 이곳에 1조4097억 원(건축비 제외)의 사업비를 들여 개발할 예정이지만 주민 반대로 행정 절차인 공청회조차 열지 못하고 있다. 개발을 반대하는 주민들은 시에 보다 현실적인 이주 및 생활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내년 2월까지 지구 지정에 따른 재정비촉진계획을 수립하지 못할 경우 기한 만료로 사업이 백지화할 수 있다.

제물포 역세권 조감도

 

◇ 교육문화 특구 제물포 역세권 = 인천에 ‘기찻길 옆’ 달동네로 불리는 제물포역 주변은 경인전철로 남북 생활권이 둘로 나뉜 곳이다. 시는 남구 도화동 272번지 일원 94만2180㎡에 달하는 이곳을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해 2020년까지 주거와 상업, 업무, 교육 기능이 공존하는 복합단지로 조성할 계획이다.

이미 이곳 사업지구 주변 4㎞ 범위 내 숭의운동장과 도화구역 재개발 등 79개의 크고 작은 개발사업이 추진 중에 있어 체계적인 정비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더욱 낙후될 수 없다고 시는 판단하고 있다. 더욱이 사업지구 내 20년 이상 노후 건축물이 77.9%를 차지하고 있고 도심 인프라가 절대적으로 부족해 상업기능이 날로 쇠퇴하는 곳이다.

시는 이곳에 2조2796억 원의 사업비(건축비 제외)를 들여 독일의 소니센터와 같이 다양한 문화와 여가 기능을 즐길 수 있는 복합커뮤니센터(1만3919㎡)를 조성, 청소년을 주타깃으로 한 교육 및 문화특구를 만들 계획이다.

그러나 가좌IC 주변과 마찬가지로 주민들과의 보상 및 이주대책 협의가 이뤄지지 않아 개발이 지연되고 있다. 특히 개발을 반대하는 일부 주민들로 재정비촉진계획 수립을 위한 공청회가 열리지 못했다. 이미 한 차례 촉진계획 수립 기한을 연기한 이곳 사업지구는 내년 3월까지 실시계획을 인가받지 못할 경우 지구지정 고시에 따른 효력을 잃게 된다.



<지건태기자 jus216@kyunghyang.com>

출처 : 동북아의허브-인천-
글쓴이 : 복돌이(박창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