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부동산 뉴스

'검단신도시 보상' 시작부터 파행

복돌이-박 창 훈 2008. 8. 6. 23:01

'검단신도시 보상' 시작부터 파행

 

대책위-시행사 마찰 지연끝 '반쪽 설명회'… 주민간 이권충돌·공동개발 협상난항 예고
   
▲ 5일 인천 서구 검단복지회관에서 열린 주민보상설명회에 참석한 주민들이 인천시 도시개발공사 직원의 설명을 듣고 있다.

/윤상순기자 youn@kyeongin.com
지난 2006년 인천 서구 검단신도시 개발계획 발표 이후 처음 열린 주민 보상설명회가 시작부터 파행으로 이어져 앞으로 난항이 예고된다.

5일 7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검단복지회관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주민 보상설명회는 개발 예정지 내 각 대책위원회와 개발시행사 간의 의견 마찰로 지연되다 결국 일부 주민만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검단신도시 개발사업의 경우 시행사가 인천시와 인천도시개발공사, 한국토지공사 등 3곳으로 나뉜데다 주민들의 이권에 따라 6개나 되는 대책위원회가 난립해 있어 가정오거리 개발사업(루원시티)이나 청라지구 등 다른 굵직한 도시개발사업보다 보상 협상이 더 힘들 것이란 전망이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이들 공동시행사는 일단 이달 말께부터 개발 예정지에 대한 물권 조사를 시작하고, 국토해양부로부터 오는 10월 개발계획 승인이 나오면 올 연말이나 내년 초부터 본격적인 토지 수용 등 보상 업무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주민들은 사업 시행사로 참여한 3개 기관이 어떻게 지분을 배분해 개발할지에 대한 협약도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보상설명회를 열어 혼란만 가중시켰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게다가 검단신도시 개발 예정지의 경우 과거부터 토지를 소유하고 농사를 짓던 원주민부터 토지구획정리 사업으로 새로 들어온 아파트 입주민, 검단지역에 산재해 있는 공장주 등 다양한 사람들의 이권이 충돌해 주민들간의 의견도 분분한 상황이다.

인천도시개발공사 관계자는 "시행사간의 지분 협의는 조만간 이뤄질 예정이며 보상 업무는 3개 기관 중 어떤 시행사가 주도권을 갖든 똑같은 잣대로 이뤄지기 때문에 크게 신경 안써도 된다"고 설명했다.

반면 주민대책위원회 관계자는 "개발 예정지 주민들과 사전협의도 없이 이뤄지는 설명회는 필요없다"며 "앞으로 상황을 지켜보며 대응하겠다"고 했다.

 

다음카페 : 동북아의허브-인천

http://cafe.daum.net/hubinch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