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세종 뉴스및정보

[행복도시, 특화가 답이다]1. 세계 속 고유명사, 행복도시 특화

복돌이-박 창 훈 2017. 5. 22. 08:14

[행복도시, 특화가 답이다]1. 세계 속 고유명사, 행복도시 특화


<순서>

1. (총괄)세계 속 고유명사, 행복도시 특화
2. 삶의 가치에 중점을 둔 주거 특화

3. 도시가 살고 경제가 살아나는 특화
4. 시민이 안전하고 소통이 꽃피는 특화
5. 전문가 의견


우여곡절 끝에 2007년 7월 20일 첫삽을 뜬 행정중심복합도시(이하 행복도시)가 올해로 착공 10주년을 맞았다.

논과 밭이 대부분이었던 이곳에는 10년 새 정부세종청사와 아파트, 상가, 공원, 도로 등이 들어서 ‘상전벽해(桑田碧海)’란 말이 실감날 정도로 행복도시는 탈바꿈했다.

특히 행복도시는 국제 공모를 통해 도시가 설계된 만큼 이제는 세계속의 고유한 도시로서 그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행정기능이 집약된 도시의 형태라 행정중심복합도시라는 명칭을 갖고 있지만, 도시의 가치부터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특화(特化, specialization)’를 목표로 개발되고 있어 미래도시에 대한 기대가 모아진다.

본보는 ‘문재인 정부’들어 세종시를 행정수도로 격상시킨다는 공약 실현이 예고된 만큼 세종시의 심장인, 행복도시의 특화 개발이 갖는 미래 가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2004년 4월 국회를 통과한 ‘신행정수도건설을 위한 특별조치법’은 이듬해 위헌 결정으로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로 개발 방향이 조정됐다.

2005년 5월 행복도시는 국내외 권위자들로 심사위원회를 구성하고 전세계를 대상으로 도시개념 국제공모를 실시한다.

25개국 121개의 작품이 출품되고 이 가운데 스위스의 ‘장피엘 뒤리그’와 스페인의 ‘안드레스 페레아 오르테가’가 공통적으로 제안한 환상형 도시구조가 현재 행복도시의 기본이 됐다.

도시 중심에 중심상업지역을 두고 주변에 주거지역을 두는 개념이 아닌, 도시 중심에는 녹지공간이 채워지고 그 주의를 순환하는 고리형 교통축을 둘러싼 권역별 커뮤니티가 행복도시라는 새로운 도시 설계를 낳았다.

이 가운데 행복도시 개발 수정안 논란 이후 다시 정부가 원안추진을 결정하면서 본격적인 정부 이전이 가속화되면서 행복도시의 새로운 모습이 하나둘씩 나타나게 됐다.

초반 행복도시는 주거지역이나 상업지역 개발 시 수익성에만 초점을 맞춘 나머지 특색을 찾을 수 없는 건축물로 채워졌다. 특색없는 도시 디자인은 일부 초기 건축물에서 발견된다.

그러나 이후 국제공모 도시로서의 가치를 담기 위한 ‘도시 특화’개념이 본격 도입되기 시작했다.

‘21세기를 여는 첨단 계획도시’를 지향하며 도시의 품격을 높이기 위한 설계, 특화설계가 접목되면서 명품도시의 면모를 보여주게 된 것.

행복도시에 담겨진 특별한 가치는 특색있는 도시 디자인 설계 변화 뿐만 아니라 도시 개발 상 나타나는 구조적인 병폐를 줄이기도 했다.

공공건축물 특화를 비롯해 주거 생활권 특화, 상업지역 특화 등 실질적인 도시의 하드웨어 설계 특화가 이뤄진 동시에 건축물은 고유한 가치를 얻게 됐다.

이같은 분위기 속에서 초기 최고가 토지 공급에서 벗어나 특화설계를 기반으로 한 토지 공급이 이뤄졌다.

비싼 가격에 토지를 매입해 분양가를 높여 도시 구성원들에게 부담을 주는 것이 아닌, 저렴한 비용에 토지를 공급하고 건축물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설계가 도입됐다.

한 도시개발 시행전문가는 “수익성만 쫓아가는 개발이 아닌, 랜드마크가 될 수 있는 건축물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만큼 개발시행에도 시각이 달라졌다”며 “이같은 개발 변화로 도시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행복도시를 토대로 한 세종시는 행정기능만으로는 살아남을 수 없다는 게 도시개발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얘기다.

전문가들은 신속한 건설에만 초점을 둔다면 도시는 특색을 잃어버리고 글로벌 경쟁 속에서 잊혀져가는 도시로 전락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도시의 가치를 높이는데 특화 전략을 우선순위에 둬야 한다는 말이다.

행복청 관계자는 “19세기 영국의 시인 윌리엄 카우퍼가 남긴 ‘신은 자연을 만들었고, 인간은 도시를 만들었다’는 말처럼 행복도시라는 도시가 새로운 가치를 구현해내길 기대한다”며 “기존 도시가 만들어낼 수 없는 새로운 개념의 도시 개발은 아직도 현재진행형”이라고 말했다.

세종=이경태 기자 biggerthanseo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