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형 생활주택·오피스텔,금리상승기 주목
|
금융권의 금리 인상 본격화로 수익형 부동산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수익형 부동산은 매달 일정수준의 고정수입을 올리면서도 중장기적으로 시세차익까지 바라볼 수 있어 금리상승기의 대표 투자상품이기 때문이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수익형 부동산 상품 가운데 오피스텔과 최근 도심에서 공급되고 있는 도시형생활주택이 안정성과 수익성 면에서 가장 유망하다고 입을 모은다. 특히 16일부터는 30가구 미만인 도시형생활주택은 개인사업자도 지을 수 있도록 허용됐고 오피스텔도 준주택으로 분류돼 건설자금을 저리의 국민주택기금에서 지원받을 수 있어 투자 여건이 훨씬 개선됐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도시형생활주택과 오피스텔은 비슷한 형태지만 각각 주택법과 건축법을 적용받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전문가들은 이에 따라 부대시설, 임대수익률, 분양가격 수준 등을 꼼꼼히 비교해 투자에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도시형 주택 ‘스펙 업’ 확산
12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최근 공급되고 있는 도시형 생활주택은 발코니 확장, 오피스텔과 도시형 생활주택의 복합형 상품 출시, 수익률 보장제, 주차장 면적 확대 등을 앞세워 수요층을 파고들고 있다.
하나종합개발은 서울 구로동 일대에 ‘구로 하나세인스톤Ⅰ’(도시형생활주택 68실, 오피스텔 90실)과 대림동 ‘대림 하나세인스톤Ⅱ’(도시형생활주택 91실, 오피스텔 128실), 신도림동의 ‘하나세인스톤Ⅲ’(도시형생활주택 72실, 오피스텔 80실) 등 오피스텔과 도시형생활주택을 묶은 퓨전형 소형주택을 공급 중이다. 최근 각광 받고 있는 도시형 생활주택과 오피스텔을 아예 한 데 묶어 포트폴리오를 구축한 것이다. 하나종합개발은 덤으로 발코니 확장을 무상으로 제공한다.
하나종합개발 김혁 본부장은 “초소형의 도시형생활주택을 선호하는 투자자나 실수요자가 많지 않다”면서 “소형 원룸형의 경우 발코니 확장을 무료로 제공해 생활공간을 넓혀주는 식으로 마케팅 전략을 쓰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본부장은 “월세로 들어오는 사람들도 요즘에는 웬만하면 모두 차를 소유하고 있다”면서 “법에서 규정하는 대로 주차장을 설치할 경우 주차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주차공간을 더 확보했다”고 강조했다.
한원건설이 관악구 신림동에 선보인 ‘아데나534’는 25∼26㎡ 149가구 규모다. 하나세인스톤처럼 발코니 확장을 통해 전용률을 높였고 여기에 수익보장제를 도입했다.가령 투자자들에게 보증금 1000만원에 월세 65만원을 시행사가 보장해주는 방식이다.
■도시형주택 vs 오피스텔 저울질
도시형 생활주택의 공급가격이 오피스텔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높게 책정되는 경우가 발생하면서 투자자들의 혼란도 가중되고 있다. 도시형 생활주택 시행사의 한 관계자는 “도시형 생활주택과 오피스텔을 똑같이 1억원대에 분양을 할 경우 도시형 생활주택은 부가세가 붙지 않아 1억원에 분양가를 정하는 반면 오피스텔은 부가세가 붙은 채 9500만원 선에 나오는 게 시장의 현실”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최근 서울 도심의 한 도시형 생활주택 분양에서는 경쟁률이 4대 1에 달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지만 분양가격이 높다는 이유로 계약률은 절반 수준에 그친 상황도 연출됐다. 이는 주택으로 분류되는 도시형 생활주택은 준주택으로 분류된 오피스텔보다 취득·등록세가 낮고 부가세가 없는 등 세제혜택이 있어 투자면에서 유리해보이지만 양도세 중과세 대상이라는 점이 걸림돌이다.
전용률은 도시형생활주택이 오피스텔보다 더 유리하다는 평가다. 그러나 건축기준상 부대시설 설치 요건이 완화되고 주차장 보유기준도 최대 0.5대인 반면 오피스텔은 가구당 1대에 달하는 등 주거여건이 상대적으로 양호해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
부동산써브 함영진 실장은 “도시형생활주택과 오피스텔은 세금, 전용률, 부대시설 여건을 종합적으로 따져보면 지역에 따라 장단점이 가려진다”면서 “소형주택에 대한 투자는 1억원 안팎 정도가 좋고 투자자 입장에서는 실수요자, 임대수익자, 다주택자 등의 수요여건을 따져 본인에게 맞는 투자대상을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jjack3@fnnews.com조창원기자
2010/07/12 18:36:04 파이낸셜뉴스
'기본 정보 > 부동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요즘 아파트 계약자들 `시공사 부도나라` 기도한다 (0) | 2010.08.10 |
---|---|
[스크랩] [인천]지역별 부동산 동향- 8/10 (0) | 2010.08.10 |
[스크랩] [`빚 시한폭탄` LH] (3) 국회서 "부채 줄여라" 호통쳐놓고 `지역구 챙겨달라` 압박 (0) | 2010.07.19 |
[스크랩] [`빚 시한폭탄` LH] (2) 미분양 뻔한데 `1기 신도시 8배` 공사…정치권 압박에 중단도 못해 (0) | 2010.07.18 |
[스크랩] [`빚 시한폭탄` LH] (2) 구도심 재생사업도 3곳 중 1곳 표류 (0) | 2010.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