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명품도시'를 만들겠다며 내세운 중·대형 주택공급 확대정책에 일대 변화가 예상된다.
<관련기사 3면>
최근 시가 가정오거리 도시개발구역을 비롯한 구도심 개발사업에서 중·대형 주택공급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혔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중·대형 쏠림현상은 지금보다 더 할 전망이다.
▲방침변화 배경은
시는 지난 달 27일 대표적인 구도심 개발사업인 가정오거리 도시개발구역의 전용면적 85㎡ 초과 중·대형 아파트 공급비중을 5%대로 줄이겠다고 발표했다.(인천일보 8월28일자 1면) 시 주도의 다른 구도심 개발에서도 중·대형 비중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미 주택공급계획이 확정된 도화 도시개발구역 등을 뺀 경인고속도로 가좌 IC 주변, 국철 1호선 인천·동인천·제물포역 주변 뉴타운 등이 대상이다.
이유는 주민 재정착이다. 구역 내 주민의 87.1%가 전용면적 60㎡(18평) 이하 집에 살아 중·대형 비중이 높으면 재정착이 어렵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재정착을 둘러싼 시와 주민 측의 극심한 갈등 끝에 시가 결국 주민요구를 수용하고 당초 주택공급계획을 대폭 수정한 것이다. 시는 향후 주택시장이 중·소형 중심이 되리란 전망도 이유로 제시했다.
▲인천경제자유구역 중·대형 쏠림 더 커질 듯
구도심의 중·대형 공급축소는 상대적으로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중·대형 주택 건설비중을 더 높일 것으로 보인다. 시가 인천의 부동산 시장 활성화 등을 위해 지난 2002년부터 전용면적이 102㎡를 넘는 중·대형 주택공급 확대를 추진 중이기 때문이다.
시에 따르면 인천시내 아파트 50만6천75가구 중 102㎡ 초과 가구는 6만4천503가구로 전체의 12.74%다. 시는 2020년까지 이 비율을 20%선까지 올릴 계획이다. 인천경제자유구역만 따로 살펴보면 중·대형 비중은 훨씬 높다. 총 공급가구 2만8천937가구의 45.5%인 1만3천168가구가 102㎡ 초과물량이다.
/노승환기자 blog.itimes.co.kr/todif77
경제구역 중·대형APT 공급 쏠리나 |
주택공급 확대정책 전반 변화 예상 |
'기본 정보 > 부동산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제개편] 이르면 이달 종부세 전면개편 (0) | 2008.09.01 |
---|---|
[08 세제개편] 양도세 비과세대상 '확' 늘린다 (0) | 2008.09.01 |
"분양가 오르기 전에 사자"..청약시장 활기 (0) | 2008.08.31 |
9월부터 85㎡형 분양가 488만원 오른다 (0) | 2008.08.31 |
주안2·4동 '띄울 자' 누구냐 (0) | 2008.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