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부동산 뉴스

거래절벽 와중에도…초저가 아파트 거래폭발

복돌이-박 창 훈 2021. 8. 26. 07:54

거래절벽 와중에도…초저가 아파트 거래폭발 

 

거래절벽 와중에도…초저가 아파트 거래폭발

섣부른 취득세중과 풍선효과 전국 아파트 매매 9% 감소때 1.5억원미만 거래는 20% 쑥 "稅규제가 투자심리 자극해 서민 실수요자만 되레 타격" 공시가격 1억원 미만 투자가 전국 곳곳에서 횡행하고

www.drapt.com

섣부른 취득세중과 풍선효과

전국 아파트 매매 9% 감소때
1.5억원미만 거래는 20% 쑥

"稅규제가 투자심리 자극해
서민 실수요자만 되레 타격"

공시가격 1억원 미만 투자가 전국 곳곳에서 횡행하고 있다. 22일 아실이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지역별로 8월 들어 가장 많이 거래된 아파트 상위권은 대부분 공시가격 1억원 미만인 저가 아파트로 나타났다.

경기도에서는 6개월 분양권 전매제한이 풀리자 거래가 활발해진 가평자이(45건) 다음으로 안성시 공도읍 2295가구 규모 주은청설이 지난 20일 기준 24건 거래돼 2위에 올랐다. 이 아파트 전용면적 39㎡ 매매가격은 1억2000만원 안팎으로, 올해만 무려 408건(17.7%)이나 손바뀜됐다. 인근 주은풍림도 이달 21건 거래돼 3위였다.

대구에서는 북구 관음동 성창아파트가 이달 28건 매매돼 거래량 1위를 차지했다. 지난 12일에만 6건이 동일한 가격인 6700만원에 손바뀜됐다. 부산에서는 강서구 지사동 지사금강펜테리움이 8월 1~20일 23건 팔려 거래량 1위에 올랐다. 전용면적 59㎡ 매매가격이 1억5000만원 안팎으로 공시가격은 1억원 미만이다.

 

이영래 부동산서베이 대표는 "부산 가덕신공항 추진, 에코델타시티 조성 등 호재와 공시가격 1억원 미만에 대한 투기 수요가 섞이면서 매매가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며 "작년 말부터 활발한 공시가격 1억원 미만 투자는 부산을 거쳐 울산까지 확산될 조짐"이라고 내다봤다. 광주시에서도 공시가격 1억원 미만 아파트가 거래량 1위를 차지했다. 광산구 우산동 하남주공2단지(9건), 북구 문흥동 중흥파크맨션2(9건) 등이 공동 1위를 차지했다. 특히 하남주공2단지는 평균 전세가율이 올해 94% 수준이라 380만원이면 아파트 한 채를 살 수 있다.

공시가격 1억원 미만 아파트에 매수세가 몰리는 것은 '징벌적' 부동산 세금 규제의 대표적 부작용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지난해 7·10대책을 통해 1~4%였던 다주택자 취득세율을 최고 12%까지 올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뒤 지난해 8월 12일부터 전격 시행했다. 다만 공시가격 1억원 미만 주택은 취득세 중과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풍선효과가 본격화됐다. 외지인들이 단체로 버스를 대절해 집값이 싼 지방 원정 투기에 나서는 사례도 포착됐다.

매일경제가 부동산114에 의뢰해 최근 1년(2020년 8월 12일~2021년 8월 11일)간 저가 아파트 거래를 확인해본 결과, 전국에서 1억5000만원 이하 아파트 거래는 18만7565건으로 직전 1년(2019년 8월 12일~2020년 8월 11일) 15만6415건 대비 19.9% 급증했다. 같은 기간 전체 아파트 매매가 77만6545건에서 70만6939건으로 9% 줄어든 것을 감안하면 저가 아파트에 매수세가 집중된 것이다. 전국 시세 대비 공시가격 비율은 평균 70% 남짓으로, 매매가 1억5000만원 이하는 공시가격 1억원 미만 아파트로 추정된다.

저가 아파트 매수세는 경기도와 세종시, 지방 광역시에서 도드라졌다. 경기도는 최근 1년간 전체 아파트 거래 건수가 20.3%(4만8827건) 감소했지만 1억5000만원 이하 저가 아파트 거래 건수는 11.4%(2153건) 늘었다. 세종시도 같은 기간 전체 아파트 거래 건수는 직전 1년에 비해 반 토막 났지만 저가 아파트 거래는 오히려 46.5% 급증했다. 울산(43.4%)과 부산(41%)도 거래 건수가 가파르게 뛰었다.

 

껑충 뛴 집값과 전세난에 지친 무주택자들이 저가 아파트 매매 전선에 뛰어든 데다 다주택자들 투기 수요까지 겹치면서 수도권 외곽과 지방에서는 1억원대 아파트가 자취를 감추고 있다. 인천시 동구 한 중개사무소 관계자는 "공시가격 1억원 미만 매물은 동난 상태라, 집을 안 보고 계약해도 좋으니 나오는 대로 알려만 달라는 주문이 많다"고 했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결국 다주택자를 겨냥한 징벌적 부동산 규제로 서민층에게 공급돼야 할 주택 수가 줄고 가격이 올라 피해를 주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권한울 기자 / 유준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