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부동산]2020년 11월 2주간 주간아파트 가격동향
□ 한국감정원(원장 김학규)이 2020년 11월 2주(11.9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21% 상승, 전세가격은 0.27% 상승했다.
?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 [전국 : 0.21%]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수도권(0.15%→0.15%) 및 서울(0.02%→0.02%)은 상승폭 유지, 지방(0.19%→0.27%)은 상승폭 확대(5대광역시(0.29%→0.39%), 8개도(0.10%→0.16%), 세종(0.25%→0.25%))됐다.
ㅇ 시도별로는 부산(0.56%), 대구(0.39%), 대전(0.37%), 울산(0.35%), 경남(0.26%), 세종(0.25%), 경기(0.23%), 충남(0.19%), 인천(0.16%),전북(0.16%) 등은 상승했다.
-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146→147개)은 증가, 보합 지역(12→11개)은감소, 하락 지역(18→18개)은 유지했다.
□ [수도권 : 0.15%] 서울 0.02% 상승, 인천 0.16% 상승, 경기 0.23% 상승
ㅇ [서울 : +0.02% → +0.02%]보유세 부담 있는 강남권 고가 단지는 가격 하향 조정되고 관망세 보이고 있으나,그 외 지역은 역세권이나중저가 단지 위주로 상승
- (강북 14개구 : +0.02%)중랑구(0.04%)는 면목동 일부 중저가 단지 위주로, 강북구(0.04%)는 번ㆍ미아동 구축 단지 위주로, 노원구(0.03%)는 석계역(월계동)인근 단지 위주로 상승
- (강남 11개구 : +0.01%) ① 강남4구 : 전반적으로 매물 누적되는 가운데, 강남(0.00%)ㆍ서초(0.00%)ㆍ송파구(0.00%)는고가 단지 위주로 하락세 보이나, 일부 중소형 위주 상승하며 보합. 강동구(0.01%)는 명일동 역세권 대단지 위주로 상승. ② 강남4구 이외 : 관악구(0.03%)는 교통호재 있는 봉천동 위주로, 구로구(0.02%)는 개봉동 역세권 위주로 상승
ㅇ [인천 : +0.15% → +0.16%]
- 남동구(0.22%)는 간석ㆍ논현동 등 역세권 및 대단지 위주로, 부평구(0.18%)는 교통호재(7호선 연장)있는 삼산ㆍ청천동 위주로, 계양구(0.18%)는 계산ㆍ용종동 등 상대적 가격수준 낮은 단지 위주로,동구(0.16%)는 송현ㆍ만석동 일대 역세권 위주로 상승
ㅇ [경기 : +0.23% → +0.23%]
-김포시(1.91%)는 교통호재(GTX-D)및 상대적 저평가 인식 있는 풍무ㆍ사우동 역세권과 한강신도시 신축 단지 위주로, 파주시(0.47%)는 교통 접근성 개선(GTX-A, 3호선 연장)기대감 있는 운정신도시 위주로, 고양 덕양구(0.38%)는 3기 신도시 등 개발 기대감있는 도내ㆍ동산동 인근지역 위주로, 남양주시(0.29%)는 다산신도시와 진건ㆍ진접읍 중저가 위주로 상승했으나, 여주(-0.03%)ㆍ이천시(-0.03%)는 신규 입주물량 영향 등으로 하락
□ [지방 : 0.27%] 5대광역시 0.39% 상승, 8개도 0.16% 상승, 세종 0.25% 상승
ㅇ [5대광역시 : +0.29% → +0.39%]
-(부산 : +0.56%)전체적으로 개발호재 등으로 상승 기대감 지속되는 가운데, 수영구(1.13%)는 남천ㆍ민락동 중대형 평형 위주로, 해운대구(1.09%)는 좌ㆍ우ㆍ재송동 등 정주여건 양호한 단지 위주로, 연제(0.88%)ㆍ남(0.81%)ㆍ부산진구(0.81%)는 교통호재 등 주거환경 개선 기대감 있는 지역 위주로 상승
-(대구 : +0.39%) 수성구(1.11%)는 학군 우수한 범어ㆍ만촌동과 재건축 기대감 있는 범물ㆍ시지동 등 구축 위주로, 달서구(0.38%)는월성ㆍ상인동 등 주거여건 양호한 지역과 개발호재 있는 본리ㆍ성당동 위주로, 중구(0.37%)는 남산ㆍ대봉ㆍ대신동 위주로 상승
ㅇ [세종 : +0.25% → +0.25%]
- 기관이전 추가 검토 등으로 상승세 지속되는 가운데, 조치원읍 구축과 행복도시 內 고운ㆍ도담ㆍ보람동위주로 상승
?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 [전국 : +0.27%]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수도권(0.23%→0.25%) 및 서울(0.12%→0.14%)은 상승폭 확대, 지방(0.23%→0.29%)도 상승폭 확대(5대광역시(0.27%→0.33%), 8개도(0.17%→0.22%), 세종(1.26%→1.16%))됐다.
ㅇ 시도별로는 세종(1.16%), 인천(0.61%), 울산(0.56%), 부산(0.35%), 대전(0.34%), 대구(0.33%), 강원(0.32%), 충남(0.28%), 경남(0.28%),충북(0.24%) 등은 상승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155→159개)은 증가, 보합지역(14→11개) 및 하락지역(7→6개)은 감소했다.
□ [수도권 : 0.25%] 서울 0.14% 상승, 인천 0.61% 상승, 경기 0.23% 상승
ㅇ [서울 : +0.12% → +0.14%] 청약 대기수요, 거주요건 강화 등의 영향으로 거래 가능한 매물 부족 현상 지속되는 가운데, 학군 및 역세권 등 정주여건 양호한 단지 위주로 상승
- (강북 14개구 : +0.12%) 마포구(0.19%)는 공덕ㆍ성산동 등 직주근접성 높거나 중저가 단지위주로, 강북구(0.15%)는 정비사업이주수요 발생 영향 등으로 수유ㆍ미아동 위주로, 성북구(0.13%)는 하월곡동 일부 (준)신축 및 돈암ㆍ길음동 위주로, 은평구(0.13%)는 응암ㆍ녹번동 주거 선호도 높은 단지 위주로, 성동구(0.12%)는 금호동 중소형 평형 및 행당동 대단지 위주로 상승
- (강남 11개구 : +0.17%)① 강남4구 : 전체적으로 매물 부족 현상 지속되는 가운데, 서초구(0.22%)는 반포ㆍ서초ㆍ잠원동 역세권 위주로, 강남구(0.21%)는 대치ㆍ압구정동 등 학군수요 꾸준한 단지위주로, 송파구(0.21%)는 신천ㆍ잠실동 대단지 위주로, 강동구(0.20%)는 고덕ㆍ명일동 위주로 상승. ② 강남4구 이외 : 동작구(0.19%)는 흑석동 신축 및 사당ㆍ상도동 구축 위주로, 관악구(0.17%)는봉천ㆍ신림동 대단지 위주로, 금천구(0.14%)는 시흥ㆍ독산동 구축 위주로 상승
ㅇ [인천 : +0.48% → +0.61%]
- 연수구(1.83%)는 정주여건 양호한 송도동 신축 및 연수동 위주로, 중구(0.53%)는 중산동 대단지 및 운서동 (준)신축 위주로, 남동구(0.49%)는 간석ㆍ구월ㆍ논현동 대단지 위주로, 서구(0.45%)는교통 및 주거환경 양호한 청라지구 위주로상승
ㅇ [경기 : +0.24% → +0.23%]
- 고양 덕양구(0.44%)는 교통 편리한 행신ㆍ화정동 위주로, 광명시(0.39%)는 재건축 영향 있는 철산동 위주로, 의정부시(0.39%)는 민락ㆍ신곡ㆍ호원동 중저가 위주로, 양주시(0.37%)는 덕계ㆍ덕정동 역세권 인근 단지 위주로,고양 일산동구(0.36%)는교통 및 주거 여건 양호한 식사ㆍ중산동 신축 위주로상승
□ [지방 : 0.29%] 5대광역시 0.33% 상승, 8개도 0.22% 상승, 세종 1.16% 상승
ㅇ [5대광역시 : +0.27% → +0.33%]
- (울산 : +0.56%) 북구(0.59%)는 거주여건 양호한 산하동 등 대단지위주로, 남구(0.56%)는 교육환경 양호한 옥ㆍ신정동 중저가 단지 위주로, 중구(0.54%)는 옥교ㆍ우정동 신축 위주로 상승
- (광주 : +0.12%)광산구(0.17%)는 수완지구 내 정주여건 양호한 장덕동 위주로, 동구(0.16%)는 소태ㆍ월남동 역세권 인근 지역 위주로, 남구(0.13%)는 봉선동 위주로 매매가격과 동반하여 상승
ㅇ [세종 : +1.26% → +1.16%]
- 행복도시 內주요 단지 및 조치원읍 위주로 매매가격과 동반하여 상승했으나, 전체적으로 지난주 대비 상승폭 축소
※ 주간아파트가격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www.r-one.co.kr) 또는 한국감정원 부동산정보 앱*(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쉬운설치방법 : “구글 Play스토어” 또는 “Apple 앱스토어” 에서 “한국감정원” 검색 후 설치
붙임 1 : 주간 아파트 시도별 변동률 통계표
붙임 2 : 규제지역 주간 아파트 변동률 통계표
붙임 3 :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
'기본 정보 > 부동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월 3주 분양동향] 반정 아이파크 캐슬 등 6천 5백가구 (0) | 2020.11.16 |
---|---|
수도권, 지방 주택시장 동반 상승장 시작됐다 (0) | 2020.11.14 |
미분양과 인허가 실적 동반 감소가 의미하는 것 (0) | 2020.11.09 |
[11월 2주 분양동향] 의정부역 푸르지오 더센트럴 등 4천 5백가구 (0) | 2020.11.09 |
[법률S토리] 복잡한 부동산 한 번에 점검하기 (0) | 2020.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