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스마트시티 창대한 계획… 하지만 곳곳 ‘위험요소’
세종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진단
7대 혁신요소… 현실성 부족 지적
병원 네트워크 ‘헬스케어’ 부문
정작 조성지엔 대형의료시설 無
다른 요소들도 문제 지적 잇따라
도시계획 최적화 작업 필요성↑
7대 혁신요소… 현실성 부족 지적
병원 네트워크 ‘헬스케어’ 부문
정작 조성지엔 대형의료시설 無
다른 요소들도 문제 지적 잇따라
도시계획 최적화 작업 필요성↑
글싣는 순서
① 세종 스마트시티 밑그림
<2> 현실 가능성 있나
③ 기관별 협업체계 중요
④ 상징적 랜드마크 필요
⑤ 전문가 조언
[충청투데이 강대묵 기자] ‘세종 스마트시티’는 과연 SF도시를 현실에 옮길 수 있을까.
총 사업비 1조 4876억원이 투입되는 매머드급 국가사업을 바라보는 각계의 기대감은 극에 달한다. 기대감이 큰 만큼 우려 시각도 높다. 일각에선 ‘세종 스마트시티 시행계획(안)’은 현실 가능성이 매우 부족하다는 목소리도 제기된다.
세종 스마트시티 총괄계획가(MP)는 뇌 공학자로 유명한 카이스트 정재승 교수가 맡았다. 정 MP가 제시한 △모빌리티 △헬스케어 △교육 △에너지·환경 △거버넌스 △문화·쇼핑 △일자리 등 7대 혁신요소는 이론상으로는 문제가 없다.
다만 일부 계획은 현실성이 부족하다는 우려가 높다. ‘헬스케어’ 부문만 봐도 허점이 노출되고 있다.
헬스케어의 이론적 기능을 보면 환자의 골든타임을 확보하기 위해 스마트시티 내 개별 병원은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병원 위치, 진료 시간, 전문 의료진 상황, 대기 시간까지 신속하게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것.
하지만 스마트시티가 조성되는 5-1생활권 내에는 종합병원급 대형의료시설이 계획상에도 없다. 결국 프라자 상가에 들어서는 작은 개별병원을 통해 환자의 응급상황을 모면할 수 있다는 현실성이 부족한 이야기로 해석된다.
논란을 일으켰던 ‘소유차 제한 구역’도 문제다. 개인 승용차를 단지 내에 들어오지 못하게 막고 공유차와 퍼스널 모빌리티, 자율차 중심으로 운영한다는 것이 첫 기본구상.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반발이 일자 계획을 일정부분 수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세종 추진단의 한 관계자는 “소유차 제한 구역은 공동주택 구간이 아닌 1인 가구가 거주하는 오피스텔 부지 등 일부 구간에 국한 돼 시범적으로 운영 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교육, 에너지·환경 등의 혁신요소에 담긴 그럴싸한 시행계획들이 과연 어떠한 시너지를 낼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사업초기 단계부터 허점은 노출됐다. 정부는 당초 스마트시티의 입주시기를 2021년으로 설정했다. 토지공급, 분양 등의 행정절차를 감안하면 입주시기는 2024년이 예상됨에도, 기본 건설과정 조차 파악하지 못한 셈이다.
일각에선 현재 발생하는 우려감이 정재승 MP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진다는 주장이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뇌 공학자가 소설처럼 미래의 도시를 이론적으로는 그릴 수 있지만, 과연 현실의 무대로 옮겼을 때 어떠한 효과를 낼 수 있을지는 궁금할 뿐”이라며 “건설과정에서 시민들의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채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전했다. 세종시는 탁상행정이 부른 실패를 경험한 도시라는 점을 반면교사 삼아야 한다는 것. 세종시는 도시계획 단계에서 대중교통 수송분담률을 70%로 설정했지만, 비좁은 도로 탓에 현재 시민들의 큰 불편이 부르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스마트시티의 성패는 특수목적법인(SPC)의 역할에 달렸다는 목소리가 높다.
정부는 곧 스마트시트 조성을 전담 할 민간사업자가 참여하는 SPC를 설립할 계획이다. SPC가 정 MP가 그린 7대 혁신요소의 밑그림을 현실과 부합된 최적화 된 도시를 재편하는 작업이 최대 관건이다.
스마트시티 추진단 관계자는 “민간사업자가 참여하는 SPC가 혁신요소를 바탕으로 현실성 있는 도시계획을 다시 그리는 작업이 진행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강대묵 기자 mugi10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충청투데이(http://www.cctoday.co.kr)
① 세종 스마트시티 밑그림
<2> 현실 가능성 있나
③ 기관별 협업체계 중요
④ 상징적 랜드마크 필요
⑤ 전문가 조언
[충청투데이 강대묵 기자] ‘세종 스마트시티’는 과연 SF도시를 현실에 옮길 수 있을까.
총 사업비 1조 4876억원이 투입되는 매머드급 국가사업을 바라보는 각계의 기대감은 극에 달한다. 기대감이 큰 만큼 우려 시각도 높다. 일각에선 ‘세종 스마트시티 시행계획(안)’은 현실 가능성이 매우 부족하다는 목소리도 제기된다.
세종 스마트시티 총괄계획가(MP)는 뇌 공학자로 유명한 카이스트 정재승 교수가 맡았다. 정 MP가 제시한 △모빌리티 △헬스케어 △교육 △에너지·환경 △거버넌스 △문화·쇼핑 △일자리 등 7대 혁신요소는 이론상으로는 문제가 없다.
다만 일부 계획은 현실성이 부족하다는 우려가 높다. ‘헬스케어’ 부문만 봐도 허점이 노출되고 있다.
헬스케어의 이론적 기능을 보면 환자의 골든타임을 확보하기 위해 스마트시티 내 개별 병원은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병원 위치, 진료 시간, 전문 의료진 상황, 대기 시간까지 신속하게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것.
하지만 스마트시티가 조성되는 5-1생활권 내에는 종합병원급 대형의료시설이 계획상에도 없다. 결국 프라자 상가에 들어서는 작은 개별병원을 통해 환자의 응급상황을 모면할 수 있다는 현실성이 부족한 이야기로 해석된다.
논란을 일으켰던 ‘소유차 제한 구역’도 문제다. 개인 승용차를 단지 내에 들어오지 못하게 막고 공유차와 퍼스널 모빌리티, 자율차 중심으로 운영한다는 것이 첫 기본구상.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반발이 일자 계획을 일정부분 수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세종 추진단의 한 관계자는 “소유차 제한 구역은 공동주택 구간이 아닌 1인 가구가 거주하는 오피스텔 부지 등 일부 구간에 국한 돼 시범적으로 운영 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교육, 에너지·환경 등의 혁신요소에 담긴 그럴싸한 시행계획들이 과연 어떠한 시너지를 낼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사업초기 단계부터 허점은 노출됐다. 정부는 당초 스마트시티의 입주시기를 2021년으로 설정했다. 토지공급, 분양 등의 행정절차를 감안하면 입주시기는 2024년이 예상됨에도, 기본 건설과정 조차 파악하지 못한 셈이다.
일각에선 현재 발생하는 우려감이 정재승 MP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진다는 주장이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뇌 공학자가 소설처럼 미래의 도시를 이론적으로는 그릴 수 있지만, 과연 현실의 무대로 옮겼을 때 어떠한 효과를 낼 수 있을지는 궁금할 뿐”이라며 “건설과정에서 시민들의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채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전했다. 세종시는 탁상행정이 부른 실패를 경험한 도시라는 점을 반면교사 삼아야 한다는 것. 세종시는 도시계획 단계에서 대중교통 수송분담률을 70%로 설정했지만, 비좁은 도로 탓에 현재 시민들의 큰 불편이 부르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스마트시티의 성패는 특수목적법인(SPC)의 역할에 달렸다는 목소리가 높다.
정부는 곧 스마트시트 조성을 전담 할 민간사업자가 참여하는 SPC를 설립할 계획이다. SPC가 정 MP가 그린 7대 혁신요소의 밑그림을 현실과 부합된 최적화 된 도시를 재편하는 작업이 최대 관건이다.
스마트시티 추진단 관계자는 “민간사업자가 참여하는 SPC가 혁신요소를 바탕으로 현실성 있는 도시계획을 다시 그리는 작업이 진행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강대묵 기자 mugi10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충청투데이(http://www.cctoday.co.kr)
'기본 정보 > 세종 뉴스및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전~세종 광역철도’..새롬·종촌·아름동 경유안 부각될까 (0) | 2020.01.19 |
---|---|
2020~2025년 ‘세종시 변화상’ 미리 보기 (0) | 2020.01.15 |
세종 스마트시티, 7대혁신요소 토대로 SF속 도시를 현실로 (0) | 2020.01.09 |
‘세종~안성 고속도로 사업’ 착공, 2024년 개통 (0) | 2020.01.06 |
오송3산단·제천∼영월 고속道 예타 주목 (0) | 2020.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