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세종 뉴스및정보

세종 신도시 아파트 공무원 특별공급 기간 연장

복돌이-박 창 훈 2019. 3. 14. 08:57

세종 신도시 아파트 공무원 특별공급 기간 연장


당초 올해말 끝날 예정…공공기관 추가 이전 대비
6-1생활권에 복합단지, 2-4생활권 상업지역 축소
주택은 목표의 42.5% 준공,11만 5천채 더 지어야



[충북일보=세종] 당초 올해말 끝날 예정이던 세종 신도시(행정중심복합도시) 아파트 '이전기관 종사자 특별공급제도'가 내년 이후에도 시행된다.

이에 따라 신도시 아파트 일반분양 가구 비율은 현재와 마찬가지로 35% 안팎에 불과, 정부의 규제 강화에도 불구하고 일반인이 인기 아파트를 마련하기는 여전히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신도시에 거주하는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 등의 무주택 근로자에게는 아파트를 우선 공급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신도시 건설을 총괄하는 행복도시건설청(행복청)이 올해 주요 업무계획을 13일 발표했다.



◇무주택 민간기업 종사자 특별공급도 확대

행복청은 "행정안전부(최근 이전 완료)·과기정통부(8월 이전 예정) 등 세종시로 추가 이전하는 공공기관과 민간기업 종사자 등 실수요자들의 주거안정을 위해 올해 주택공급제도를 정비하겠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공무원과 일반인들의 관심을 가장 끌 만한 내용은 '이전 기관 종사자 특별공급 기한 연장'이다.

현재 신도시에서 공급되는 민간아파트 전체 물량의 50%는 신도시로 이전하는 중앙부처 공무원이나 공공기관 종사자·세종시청과 교육청 공무원 등에게 우선 공급되고 있다.

이로 인해 일반인이 인기 아파트 청약에서 당첨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행복청이 이 제도 시행 기간을 연장하기로 한 것은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을 비롯해 정부산하기관들의 추가 이전에 대비하려는 것이다.

행복청 관계자는 "신도시의 자족기능을 확충하기 위해 중소벤처기업 등 민간기업에서 근무하는 무주택자들에도 특별공급을 확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현재 민간기업의 경우 신도시에 일정 금액 이상을 투자하는 경우에만 종사자들에게 특별공급 혜택을 주고 있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6-1생활권에 공공기관·협회·금융기관·국제기구·시민사회단체·기업 등이 입주할 수 있는 복합업무단지 조성이 추진된다.

또 2-4생활권 중심상업지역 중 일부는 업무시설로 용도가 바뀐다.

행복청 관계자는 "중앙행정기관이나 국책연구기관과 관련이 있는 기관·기업 등을 적극 유치하면 신도시 상권도 활성화될 것"이라며 "다양한 업무기능을 유치하기 위해 오는 6월까지 토지공급지침을 개정해 맞춤형 부지 공급 방식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6생활권은 신·구시가지 상생발전 중심지로

신도시 3단계 건설(2021~30년)에 대비, 전체 6개 생활권 가운데 3개(4~6)생활권에 대한 개발전략도 세웠다.

우선 올해부터 아파트 입주가 본격화되는 4생활권은 대학·첨단기업·연구소 등이 상업·주거시설과 연계된 '신개념 캠퍼스타운'으로 조성한다.

이를 위해 지난달 아이디어 공모전을 연 데 이어 연말까지 구체적 방안을 마련한다.

의료·복지가 중심 기능이 될 5생활권은 올 하반기에 마스터플랜을 세운다.

이 곳에는 대형 의료기관을 유치하는 등 복합의료단지를 만든다.

6생활권은 신도시와 구시가지(조치원) 사이의 상생발전을 위한 중심지역으로 육성한다.

이를 위해 첨단산업클러스터를 조성하고, BRT(간선급행버스) 환승정류장 주변을 복합 개발한다.

◇주택 11만 5천채 더 지어야

행복청에 따르면 오는 2030년을 목표로 지난 2007년 시작된 신도시 건설은 사업비 기준으로 작년말까지 전체의 약 '3분의 2'가 진행됐다.

전체 소요 사업비 22조5천억 원 가운데 14조8천억 원(65.6%)이 집행됐다. 실적은 정부가 8조5천억 원 중 5조2천억 원(61.2%), LH(한국토지주택공사)는 14조 원 가운데 9조6천억 원(68.6%)이다. 하지만 사업비 집행 실적에 비해 주요 분야 성과는 낮은 편이다.

인구는 목표(50만명)의 44.6%인 22만3천명이 달성됐고,주택은 20만채의 42.5%인 8만5천채가 준공됐다.

또 도로는 478㎞ 중 292㎞(61.1%), 학교는 169개 중 96개(56.8%), 공원은 205개 중 98개(47.8%)가 각각 달성됐다.

세종 / 최준호 기자 choijh5959@hanmail.net

Copyright @ 충북일보 & inews365.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