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세종 뉴스및정보

지역균형발전? 행정수도 면모 세종시에도 불균형… 자족기능 확보는 글쎄

복돌이-박 창 훈 2019. 3. 7. 08:55

지역균형발전? 행정수도 면모 세종시에도 불균형… 자족기능 확보는 글쎄


세종, 행정관련 인프라 순항
자족기능 확충은 숙제 남아
지역대표 기업 부재도 지적
국가산단 활용안 마련 필요


[충청투데이 강대묵 기자] ‘세종시 대통령 제2집무실’, ‘국회 세종의사당’, ‘행정안전부 등 중앙부처 이전’.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태동한 세종시가 행정수도의 면모를 갖춰가고 있다. 매머드급 행정관련 인프라 유치 소식이 끊이지 않는 세종시. 대한민국의 행정기능이 세종으로 이동하는 것은 결국 ‘시간과의 싸움’으로 비춰지고 있다.  

화려한 이면엔 그늘도 짙다. 공무원 도시, 베드타운, 부동산 거품, 상가 공실, 읍면지역 불균형 발전 등 풀어야 할 문제가 산적하다. 행정수도 완성이라는 자화자찬에 빠지기엔 악재가 넘쳐나는 현실. 자족기능 확충을 위한 ‘굵직한 기업유치’가 결국 도시의 미래를 좌우할 것이라는 게 보편적 시각이다. 

현재 세종시 기업체 수는 1만 2000여 곳으로 지난 2012년 세종시 출범 당시 6640곳에 비해 두배 수준 늘었다. 이 중 연 매출 50억 원 이상의 기업은 200여 곳으로 왕성한 기업활동을 펼치고 있다. 하지만 지역을 대표 할 굵직한 기업이 없다는 것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LH세종특별본부 등에서 투자유치팀을 구성해 활동을 펼치고 있지만 성과는 저조하다. 세종시는 지난해 신도심에 조성 중인 첨단산업단지 세종테크밸리에 54개 기업이 입주한다는 실적을 발표했지만, 내막을 보면 대다수가 중소기업 수준이다.



기업계 관계자는 “현재 세종시 신도심(행정중심복합도시) 내에는 굵직한 기업이 들어올 수 있는 부지가 부족한 게 사실이며, 타지역과 크게 차별화 되는 혜택도 없다”고 밝혔다. 

국가산업단지 최종 입지 결정은 가장 큰 사안이다. 총 100만 평 규모의 세종시 내 국가산단 후보지는 향후 행정수도의 먹거리를 창출 할 전진기지로 주목받고 있다. 

일각에선 기업연구기능을 갖춘 4-2생활권에 굵직한 기업을 유치할 수 있도록 지구단위계획을 변경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인근 오송 신도심 개발과정에서 대학부지를 산업단지로 변경 해 성공한 사례도 참고해야 할 부분”이라고 밝혔다. 

결국 세종시와 행복청 등 관계기관이 머리를 맞대 굵직한 기업을 유치하는 프로젝트를 행정수도 완성과 병행해야 한다는 게 업계의 목소리다. 세종시, 행복청, LH를 비롯해 국무총리가 주재하는 세종시지원위원회를 컨트롤타워로 삼아 대기업 유치전이 진행돼야 한다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세종 기업계 관계자는 “최근 경기 용인으로 지정된 SK하이닉스 반도체 클러스터 수준의 기업이 세종시에 입점할 경우 도시의 자족기능은 확충될 수 있다”면서 “관계기관은 세종시 자족가능 확충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강대묵 기자 mugi10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http://www.cctoda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