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세종 뉴스및정보

세종시 중심 충청권 발전계획 '새 판' 짠다

복돌이-박 창 훈 2017. 7. 18. 07:05

세종시 중심 충청권 발전계획 '새 판' 짠다


이원재 새 행복청장 "광역도시계획 재검토"
통합 세종·청주시 출범 등 변화된 여건 반영
진천·천안 등 9개 지자체,충청 면적의 21.7%



ⓒ 행복도시건설청


[충북일보=세종] 이른바 '세종시 빨대 현상'이 심해지면서 대전과 충남·북 지자체와 주민들의 불만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정부의 강력한 정책 추진으로 세종 신도시(행정중심복합도시)는 인구 증가율,주택 가격 상승률 등이 전국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반면 대전,청주, 공주 등 인근 도시에서는 상대적 피해가 나타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신도시 착공 10주년(7월 20일)을 맞아 정부가 신도시 인근 지역이 대대적으로 포함되는 '행정중심복합도시 광역도시계획'을 재검토키로 했다.

통합 세종시(2012년 7월) 및 청주시(2014년 7월) 출범,충북(진천음성) 혁신도시 착공(2007년 12월) 등 그 동안의 여건 변화를 반영하겠다는 뜻이다.



ⓒ 국토교통부


◇충청권 전체 면적의 21.7%에 해당

12일 문재인 대통령에게서 임명받은 이원재(53) 9대 행복도시건설청장의 취임식이 13일 오전 10시부터 정부세종청사 6동 대강당에서 열렸다.

이 청장은 취임사를 통해 "행정중심복합도시(행복도시) 건설 효과가 광역권으로 확산돼 인근 도시와 상생발전하고, 나아가 중부권 동반성장의 거점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진정으로 국가 균형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따라서 이미 수립된 광역도시계획을 재검토하고 다양한 사업 발굴을 서둘러 달라"고 직원들에게 당부했다.

행정중심복합도시 광역도시계획은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을 위한 연기ㆍ공주지역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 17조'에 따라 지난 2006년 만들어졌다.

계획의 시간적 범위는 2005년을 기준으로 신도시 건설이 끝나는 2030년을 목표 연도로 설정됐다.

공간적 범위는 신도시(73㎢)를 중심으로 하는 충청권 중심지역(총면적 3천597㎢)이다. 충청 4개 시·도 전체 면적(1만6천590㎢)의 21.7%에 해당된다.

당시 계획에 포함된 지자체는 △대전시 전 지역 △충남 연기·공주·계룡시 전 지역 및 천안시 일부 △충북 청주시·청원군· 진천군·증평군 전 지역이다. 현재 기준으로 모두 9개 지자체다.

광역도시계획에서는 지역 별로 주요 기능이 배분됐다.

예컨대 충북의 경우 당시 청원군에는 국제교류,BT(생명공학기술), IT(정보통신),연구개발,금융,물류 등이 중점 육성 상업으로 설정됐다. 또 진천군에는 △연구개발 △행정지원 서비스 △첨단농업,증평군에는 우주항공과 첨단농업 등의 기능이 각각 배분됐다.

'백제고도'인 충남 공주에는 문화·관광·레저를 중심으로 CT(문화기술),첨단농업,교육·의료·복지 등이 주요 기능으로 설정됐다.

대전에는 중추행정,IT(정보통신),연구개발이 중점 기능으로 배분됐다.

이와 함께 당초 세종시(현 신도시) 주변지역은 동·북·서·남 4개 생활권으로 나눠 각각 중점 기능을 육성하도록 광역도시계획에 반영됐다.

하지만 그 후 세종시 행정구역 범위가 당초 연기군 전 지역과 청원군·공주시 일부를 포함하는 지역(총면적 465㎢)으로 크게 확대되면서, 이 계획은 흐지부지됐다.



◇이원재 청장 "2005~6년 신도시 계획 업무 맡았다"

이 청장은 이날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이 시작되던 지난 2005~6년 신도시 계획 수립을 비롯한 업무 전반을 수행한 경험이 있다"고 자신을 소개했다.

이어 "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국가균형발전을 선도하는 행복도시에 대한 국민의 기대는 어느 때보다도 크다"며 '광역도시계획 재검토' 외에 앞으로 행복도시건설청청이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주요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첫째, 국회분원 설치와 행자부·미래부 추가 이전 등 (문 대통령) 공약을 충실히 이행해 세종시가 실질적 '행정중심도시'가 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한다.

둘째, 대학·기업·연구소 유치 등 자족기능을 확충하는 데 더욱 속도를 내어 조기에 가시적 성과를 이뤄내야 한다.

셋째, 주거·교통·환경 등 도시의 인프라 수준을 더욱 고도화해 행복도시가 미래 첨단 스마트시티를 선도하는 도시로 나아가야 한다.

넷째, 행복도시가 세계적 문화관광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

세종 / 최준호기자 choijh5959@hanmail.net

Copyright @ 충북일보 & inews365.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