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아라뱃길

[경인 아라뱃길 인천을 바꾸다·3·끝]뱃길 바깥을 보자

복돌이-박 창 훈 2012. 9. 17. 08:57

[경인 아라뱃길 인천을 바꾸다·3·끝]뱃길 바깥을 보자

 

친수구역 보다 해양자원 개발에 초점
GB 해제 어렵고 부동산 침체로 전망도 어두워
서포리 반경 50㎞내 총 1500석 마리나항만계획

 

 

▲ 인천의 일부가 돼버린 경인아라뱃길을 인천시가 어떻게든 활용해야 한다고 한다. 경인아라뱃길 시천교 인근 가족소풍마당이 경인아라뱃길을 찾은 많은 가족단위 시민들이 텐트를 치고 휴일을 보내고 있어 캠핑장을 방불케 하고 있다. /임순석기자

 

경인아라뱃길 주변지역 개발에는 제약 요인이 많다. 친수지역개발은 그린벨트 해제가 우선돼야 하고 사업성이 확보돼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때문에 부동산 개발보다는 해양자원 개발 방안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친수구역 제대로 활용할 수 있나

친수구역 개발을 위해선 지자체나 지방공기업, 수자원공사, LH 등이 사업시행자가 돼 정부에 친수구역 지정을 신청해야 한다. 하지만 수자원공사가 추진중이던 국가하천 개발이 난항을 겪으면서 경인아라뱃길 주변 지역 개발도 사실상 어려운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수자원공사는 친수구역 개발을 위해 지난해 6월부터 타당성 용역을 추진했으나 지난달 용역을 중단했다. 수자원공사는 친수구역 지정에 따른 주민 공람과 지자체 협의 과정에서 절차가 지연돼 용역이 잠시 멈춘 것이라는 입장이다. 그러나 부동산 경기 침체로 개발이익을 환수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측돼 용역을 중단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주변 지역이 그린벨트로 묶여있어 친수구역 지정 자체가 어렵다는 점도 친수구역 개발의 발목을 잡고 있다. 현재 인천시 그린벨트 80.5㎢ 중 해제할 수 있는 물량은 없다. 시는 아시안게임 경기장 활용을 위해 해제 가능 물량을 모두 소진했다.

인천터미널의 공식 지번이 어떻게 결정되느냐에 따라서도 상황은 달라진다. 현재 위치상으로는 인천터미널 남측은 서구 경서동, 북측은 서구 오류동이다. 경서동은 과밀억제구역이라 개발에 제한이 따를 수 있다. 오류동은 성장촉진지역으로 다양한 부지 활용이 가능하다.

수자원공사 관계자는 "주변지역 개발 문제와 그린벨트 해제는 중앙정부와 수자원공사, 지자체가 함께 고민해야 할 문제"라며 "꼭 친수법 적용이 아니더라도 좋은 개발 방안이 있으면 일부 수립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 바다로 눈을 돌리자

경인아라뱃길은 서해갑문과 한강갑문을 통해 바다와 서울로 연결된다. 배를 타고 서울에서 인천 앞바다로 가는 새로운 길이 열렸음을 의미한다. 인천시는 아라뱃길과 연계한 유람선 활성화보다는 마리나 활성화에 주목하고 있다.

국토해양부의 전국 마리나항만 기본 계획을 보면 덕적도 서포리를 중심으로 반경 50㎞이내에 왕산(인천)·전곡(화성)·제부(화성)·흘곶(안산)·방아머리(안산)·석문(당진) 등 총 1천500석 규모의 마리나항만이 계획 또는 개발중에 있다. 여기에 경인아라뱃길 김포터미널에는 총 194석 규모의 마리나항이 구축돼 있다. 인천터미널에도 200석 규모의 마리나항만이 들어설 계획이다.

인천의 경우 마리나 네트워크의 거점이 될 것으로 보이는 덕적도 서포리가 2020년 조성될 계획으로 조기 활성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인천시는 경인아라뱃길 활성화를 위해 신도(30석), 장봉도(10석), 덕적도 북리(10석)에 간이 마리나 시설 확충을 위한 국비 60억원을 지난달말 국토해양부에 신청했다.

요트·보트가 이용할 수 있는 연안항로 개척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다. 최정철 인천시 항만공항물류특별보좌관은 "서해 갑문을 나와 우회전해 세어도·가도·신도를 거치면 장봉도를 지나 덕적도 앞바다까지 진출할 수 있다"며 "또 세어도와 가도를 거쳐 강화 동검도까지 가는 항로는 이미 어선들이 활용하고 있는 항로로서 요트·보트 등도 활용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김민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