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최대 관심거리인 구도심 재생사업을 두고 인천시장 선거에 나선 한나라당 안상수, 민주당 송영길 후보가 첨예한 입장차를 드러냈다. <관련기사 3면>
4일 양당 선거캠프에 따르면 안 후보는 공영개발 중심의 기조를 이어가겠다고 했고 송 후보는 '총체적 실패'를 지적하며 전면 재검토 입장을 내놨다.
안 후보는 "지난해 말 당초 7개이던 도시재생사업이 4개로 줄어들면서 다소 분위기가 가라앉은 건 사실"이라면서도 "구도심을 반드시 되살리겠다는 원칙에는 어떤 흔들림도 없다"고 밝혔다. 그는 "가정오거리 주변과 도화, 동인천, 숭의 4개 구역은 옛 인천의 경제·문화·교육 중심지"라며 "이 지역을 재생시키는 개발은 민간의 재건축·재개발과는 차원이 다른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공공기관 중심의 공영개발 방식을 재차 강조했다. "그동안 이곳저곳에서 인천시가 수익성도 없는 구도심에서 사업을 무리하게 추진한다는 지적이 나왔지만 사실 수익이 안 나니까 시가 나서고 공기업이 나서서 개발을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요한 것은 공공성의 원칙이다. 한 개인이나 투자자에 이득이 되기보다는 시민 모두에게 개발의 혜택이 돌아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송 후보의 현실진단은 전혀 달랐다. 2005년 이후 인천시가 진행해온 도시재생사업을 "파탄과 실패"로 규정했다. 그는 "그동안의 도시재생사업은 낙후된 도심을 한 번에 밀어내고 새 건물을 올리는 물리적 환경개선에 치우쳤다"며 "정작 시민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데에는 실패했다"고 지적했다.
공영개발 방식에 대해서도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했다.
송 후보는 "시민의 의견을 제대로 듣지 않고 강제수용 방식의 공영개발을 밀어붙인 결과 시와 시민 간의 갈등은 불신을 넘어 공동체를 파괴하는 수준까지 나아갔다"고 말했다. 아울러 "인천시의회도 일방통행식인 시를 제대로 감시하지 못한 채 '거수기'로 전락한지 오래다. 시민은 동원의 대상이 돼버렸다"고 역설했다.
안 후보는 "공영개발의 전 과정을 아우르는 시민참여 기구를 만들겠다. 그동안 다소 부족했던 시민의견 수렴을 확대·심화할 의결기구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송 후보는 "시민의 적극적 참여와 합리적 토론을 보장할 제도적 장치가 시급하다. 도시재생을 위한 행정시스템의 전면적인 정비를 추진하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노승환기자 (블로그)todif77
'기본 정보 > 부동산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자산·소득으로 분석한 부동산 거품론 (0) | 2010.05.18 |
---|---|
[스크랩] [생애재무설계] `얼마나 불릴 것인가` 보다 `얼마를 투자 하느냐` 중요 (0) | 2010.05.18 |
[스크랩] 부동산 대폭락 `전운(戰雲)` 걷힐까? (0) | 2010.05.04 |
[스크랩] 소액투자, 가장 가치 있는 지역은? (0) | 2010.05.01 |
[스크랩] 인천지역 산업단지 무엇이 문제인가(상) (0) | 2010.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