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경인지역 투자분석

[무늬만 경제자유구역 청라지구·4]뒷방신세된 '자유없는 특구'

복돌이-박 창 훈 2010. 2. 18. 18:53

[무늬만 경제자유구역 청라지구·4]뒷방신세된 '자유없는 특구'

송도 국제도시에 밀리고 세종시에 눌린 현주소…

 

[경인일보=목동훈·임승재기자]청라지구(17.8㎢)는 인천경제자유구역 가운데 면적이 가장 좁다. 송도국제도시의 인천대교나 영종지구의 용유·무의관광단지와 같이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킬 대규모 투자사업도 없다. 하지만 청라지구의 미래 발전 가능성은 송도국제도시나 영종지구에 결코 뒤떨어지지 않는다. 청라지구의 강점은 단연 입지에 있다. 서울과 인천국제공항을 잇는 길목에 있기 때문이다.

이같은 지리적 이점은 청라지구 개발계획을 수립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노무현 정부는 2003년 8월 인천경제자유구역을 지정하면서 청라지구의 개발 방향을 '국제금융 허브도시'로 결정했다. 해외 금융기관들의 아시아 진출 전초기지는 물론 금융기관들이 밀집해 있는 서울을 배후에서 지원하는 금융도시로 손색이 없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청라지구=국제금융도시'라는 의미는 많이 퇴색했다.

   

인천시는 정부가 '금융 중심지' 지정을 앞둔 2008년 말 청라지구가 아닌 송도국제도시를 인천의 후보지로 선택했다. 당시 청라지구 입주예정자들은 청라지구에 관심을 보여 온 투자자들이 송도로 시선을 돌릴 것이라며 반발했다. 시는 지난해 초 금융 중심지에서 탈락한 후 지역여론을 감안해 송도와 청라지구에 '벤처 캐피털(벤처기업에 투자하는 기업 또는 자금)' 등을 기반으로 하는 금융클러스터를 조성하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논란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설상가상 WTC청라컨소시엄이 추진하던 77층짜리 월드트레이드센터(WTC) 쌍둥이 빌딩 등 '국제 금융허브'(51만5천㎡) 사업은 얼마 뒤 백지화됐다.

최생림 한양대 경영학부 교수는 "대학과 협력해 금융 전문가 육성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다각적인 측면에서 금융 지식기반을 넓히는데 과감한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청라지구의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은 이 뿐만이 아니다.

시와 민간사업자가 개발하고 있는 송도국제도시는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도로 등의 기반시설 설치비로 수천억원의 국비를 받았다. 반면 청라지구는 국비를 지원받지 못하고 있다. 사업시행자인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기반시설 구축에 필요한 모든 비용을 고스란히 떠안고 있는 실정이다.

세종시에 입주하는 국내외 기업들은 원형지 가격으로 땅을 받고, 파격적인 조세감면 혜택을 받는다. 이와 달리 경제자유구역에 입주하는 국내 기업은 아무런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홍콩, 상하이, 싱가포르 등 세계적인 도시들과 경쟁할 수 있는 동북아 비즈니스 거점 도시를 만들자는 취지에서 출범한 게 경제자유구역이다. 하지만 세종시보다 못한 것이 경제자유구역의 현주소다. 특히 인천경제자유구역은 수도권 정비계획법 등으로 묶여 온갖 규제를 다 받다보니 "경제자유구역에 자유가 없다", "무늬만 경제자유구역이다"라는 비판이 끊임없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