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시장이 꿈틀되고 있다
|
토지시장 회복 조짐이 보인다 |
최근 상담을 해 보면 어떤 분이 몇년전부터 지방 개발지 땅을 가지고 있는데 얼마전부터 부동산에서 팔라는 전화가 자주 오는데 어떻게해야 하느냐고 합니다.
이 말을 듣는 순간, 이제 막 토지시장이 꿈틀되고 있구나하는 것을 직감하게 됩니다. 하긴 이젠 토지시장이 꿈틀될 때도 된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토지시장 즉 개발지 땅은 20여년마다 한번씩 크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1967년 경부고속도로건설계획 발표와 1987년 대선공약으로 서해안개발계획을 발표한때 땅값이 요동친 것이 그러한 경우입니다.
필자 나이 30대때 서해안 일대 땅값이 크게 요동친 적이 있습니다.
1980년대 중반무렵 충남 서산 일대 땅값이 움직이기 시작하더니 1988년 노태우정권 출범과 함께 서해안개발계획이 구체화된 이후로 서해안 일대 땅값이 본격적으로 춤을 추게 되었습니다.
그 당시 서해안 일대 땅값 상승은 그야말로 광란 그 자체였습니다.
크게 오른 땅은 20배 이상 오른걸로 기억됩니다.
노태우정권때 땅값이 많이 오른 이유는 경부고속도로건설계획 발표 이후 수십년만에 발표한 메가톤급 국토및도시개발 정책때문인 것으로 기인됩니다.
서해안개발계획 발표, 인천국제공항 건설, 서해안고속도로 건설, 중앙고속도로 건설, 경부KTX 착공, 수도권1기신도시 건설 등 참으로 굵직굵직한 국토및도시개발사업이 진행되었네요.
노태우정권때 워낙 굵직굵직한 국토및도시개발사업이 이루어져 김영삼정권때는 준농림지 개발 허용 등 소규모 국토개발사업만 전개되었습니다. 이는 곧 일종의 긴축 국토및도시개발 정책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참여정부때 행정중심복합도시, 혁신도시, 기업도시가 발표되었는데 그때보다 현 정부의 선진화와 맞물려 돌아가는 4대강 정비사업, 5+2 광역경제권, 새만금지구 개발, 동해안 일대 개발 등이 더 메가톤급 국토개발사업으로 보여집니다.
통상적으로 전국 개발지 땅은 대선 개발공약때부터 꿈틀되기 시작하는데 2007년 대선때 전국 개발지 땅값이 반짝되긴 했지만 2008년 미국발 금융쇼크로 인하여 침체되어 있다가 2008년말~2009년 10월 DTI 규제전까지 강남권 부동산이 주도권을 쥔 후 최근 지역별, 상품별 부동산 순환과정 길목에서 전국 개발지 땅, 상가, 빌딩 등이 다시 주목받기 시작합니다.
땅값은 부동산 경기가 회복되면서 상승하는 측면도 있지만 정책, 개발에 따라 움직이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개발이 되어 그 지역이 좋아지면 땅값은 반드시 올라가게 되어있습니다.
특히 전국 개발지 땅은 당해 정권의 국토및도시개발 정책 내용에 따라 움직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나간 정권때의 국토및도시개발 정책은 이미 지나간 재료라 크게 반영되지 않고 현정권의 국토및도시개발 정책에 따라 땅값이 상승 코스를 그리게 됩니다.
이명박정부의 대표 국토및도시개발 정책으로는 4대강 정비사업, 5+2 광역경제권, 경제도시 세종시 개발, 새만금지구 개발, 호남KTX 착공, 동해안 일대 개발, 동남권국제공항건설계획, 새만금~전주~대구~포항을 잇는 동서고속도로건설계획, 행정구역통합, 당진.여수.거제.안동 일대 개발 등을 들 수가 있겠네요.
개인적으로 볼때 이명박정부의 국토및도시개발 정책은 아직 땅값에 크게 반영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 이유로 2008년 미국발 금융쇼크로 그동안 경기가 침체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기인됩니다.
향후 경기가 회복되면 전국 주요 개발지 땅값이 춤을 추게될 것으로 예견됩니다.
지금은 1987년 대선 이후 20여년만에 오는 대규모 국토및도시개발사업으로 현정권에서 추진하는 전국 개발지 땅값이 상승해야 한다는게 필자의 지론입니다.
개발이 되면 물론 개발되는 지역의 땅값은 당연히 상승하여야 합니다.
다만 20여년전부터는 각종 개발 호재로 서해안 일대의 땅값이 많이 올라 이제는 새로운 개발지 즉 4대강 라인, 새만금지구 일대, 호남KTX 오송~남공주~익산~정읍~광주~목포 라인, 경제도시 세종시 일대, 동해안 일대 등 새로운 스타지역이 부상할 차례입니다.
또 향후 통일을 염두에 두면 교동도, 강화도, 파주, 동두천, 철원, 강원도 고성 등 남북접경지역도 좋아 보입니다.
국토 전체를 놓고보면 인천~서울~오송~대전~새만금~인천 그리고 김천.구미~대구~포항~울산~부산~진주~김천.구미를 잇는 권역, 서울과 춘천을 잇는 라인 등이 좋아 보이네요.
대한민국은 아직도 개발에서 소외된 지역이 많이 있습니다.
이들 지역도 언젠가는 다 자기차례가 되면 개발될 것입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현정부의 국토및도시개발 정책이 무엇이냐 하는 것 입니다.
끝으로 지나간 정부의 국토및도시개발 정책은 뒤로하고 현 정부의 국토및도시개발 정책에 따른 개발지 땅 투자에 포인트를 맞추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시기적으로 지금 막 전국 개발지 토지시장이 꿈틀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지금이야말로 전국 개발지 땅 투자적기로 보입니다.
'기본 정보 > 부동산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노후를 위한 원룸주택 투자법 (0) | 2010.02.05 |
---|---|
[스크랩] PD수첩 방송 내용으로 본 미분양 원인 (0) | 2010.02.05 |
부동산시장의 뇌관,토지보상금의 경제학 (0) | 2010.02.04 |
[스크랩] 불황을 뛰어넘는 소액 부동산에 투자하라 (0) | 2010.01.29 |
[스크랩] 전세가 상승이 집값을 밀어올릴까? (0) | 2010.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