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아시안게임과 관련, 인천시가 민간자본과 주변지역 개발이익금으로 주경기장을 신설하는 등 새로운 방안을 제시했으나 문화체육관광부가 수용하지 않을 방침이어서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갈등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홍종일 정무부시장은 13일 국회 국제경기대회 특별위원회에서 "정부의 실용주의를 따르고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국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연구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나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반대 의견을 갖고 있다"는 기존 입장을 반복했다.
시가 추산하는 문학경기장 리모델링 비용은 1천760억원. 주경기장 신설 사업에 민자와 개발이익금을 투입했을 때 드는 2천52억원과 큰 차이가 없다. 국비지원액도 마찬가지다.
시에 따르면 문학경기장은 528억원, 서구 주경기장은 616억원의 국비지원을 받는다.
신설 경기장 수도 추가로 축소(경인일보 9월 2일자 19면 보도)하겠다고 시는 보고했다. 홍 부시장은 신설 경기장 수는 15개에서 13개로 줄이고, 민간 경기장 활용은 6개에서 8개로 늘리겠다고 했다. 수도권 10개 도시에 있는 14개 종목의 경기장도 사용하겠다는 뜻을 설명했다.
이렇게 할 경우 경기장 건설비용은 6천903억원이 줄어들 것으로 시는 전망했다.
한나라당 이경재(서강화을)의원과 민주당 신학용(계양갑) 의원은 "문학경기장 증설안과 주경기장 신설안을 비교해보면 국비지원액은 88억원 차이밖에 안 난다"며 문광부의 전향적 자세를 촉구했다.
그러나 유 장관은 "마음 같아서는 하나 지어주고 싶지만 (국제경기 예산이 한정돼 있어) 어려움이 많다"며 "향후 경기장 적자문제를 고려하면 종합경기장이 아닌 작은 경기장 여러개를 더 만드는 게 낫다고 판단한다"고 답했다. 또 "(국비지원액이) 실제로 88억원 차이라면 (주경기장을) 짓겠다"고 말해 시의 추산치를 믿지 못하겠다는 뜻을 표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