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부동산 칼럼

금리가 미쳤다

복돌이-박 창 훈 2022. 6. 21. 07:27

 

금리가 미쳤다

 

금리가 미쳤다   끝나지 않는 파티는 없다. 저금리 유동성 파티가 언젠가는 끝날 줄 알았지만

금리가 미쳤다   끝나지 않는 파티는 없다. 저금리 유동성 파티가 언젠가는 끝날 줄 알았지만 막상 파티가 끝난 후 마주하는 현실은 냉혹하기만 하다. 5월까

www.drapt.com

끝나지 않는 파티는 없다. 저금리 유동성 파티가 언젠가는 끝날 줄 알았지만 막상 파티가 끝난 후 마주하는 현실은 냉혹하기만 하다.

 

5월까지만 해도 우크라이나 전쟁이 마무리가 될 것이고 유가와 곡물가격도 안정되면 인플레이션도 잡히겠지 이런 기대감이 있었다.

 

이런 막연한 기대감은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8%가 넘으면서 산산이 부셔졌고 이제는 경제성장보다는 인플레이션이 최우선 과제가 되면서 미국의 기준금리는 자이언트스텝(0.75%p)으로 올려 단숨에 우리나라와 동일한 1.75%가 되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올해 말까지 3.25~3.5%까지 올릴 수 있다는 예고를 하고 있다.

 

엎친데 덮친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연준의 내부자료를 인용해 최악의 미국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4~7% 올려야 한다는 보도까지 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금리인상을 하느냐 안 하느냐가 아니라 0.25%p냐 빅 스텝(0.5%p) 이냐 선택지만 남았다.

 

한번도 가본적이 없는 빅 스텝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 왜냐면 미국이 다음 달에도 자이언트스텝으로 갈 가능성이 높아 한미간 금리역전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한미간 금리역전이 되면 한국에 유입된 투자자본 유출가능성이 높아진다.

글로벌금융위기 당시에도 금리역전이 되었지만 자금유출은 없었다고 반박의 목소리도 있는데 그때와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

 

그때 미국은 불 난 집이었고 우리나라는 불 구경하는 집이었다.

한국에 유입된 투자자본이 굳이 불이 난 미국으로 유출될 이유가 없었지만 지금은 우리나라도 3고1저(고금리, 고유가, 고환율, 저성장)의 불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어찌 되었건 올해 말까지 한국은행 기준금리도 3%까지는 가리라 각오해야 할 것 같다.

1금융권 주택담보대출금리가 5%를 훌쩍 넘어서면서 4%대 대출상품을 찾아보기 어려워 질것이다.

 

불과 2-3년 전만 하더라도 1-2% 금리는 흔했는데 어느새 옛날 이야기가 되어버렸다.

대부분 변동금리를 받은 상황에서 이렇게 대출금리 급등은 많은 부작용이 발생한다.

 

여기서 더 올라가면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한국은행은 금리역전이 되더라도 자금유출만 발생하지 않으면 기준금리 3%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최대한 버텨볼 것이다.

 

자금유출이 생기면 어떻게 하냐고? 그런 최악의 상황까지는 고민하지 말자.

옛날 학창시절 체벌이 당연시되던 그 때 매 맞을 때 가장 두려웠던 것은 매 맞을 때까지 기다리는 그 순간이었으며 막상 매를 맞고 나면 오히려 속이 시원했다. 공포가 끝났으니까

 

지금은 금리인상에 대한 불확실성 공포가 빨리 마무리가 되어야 한다.

빨리 3%든 금리가 올라간 후 인플레이션이 잡혀서 당분간 올리지 않는다 라는 시그널이 나와야 투자심리가 비로서 안정될 것이다.

 

코인, 주식, 부동산시장 모두 한 배를 탔다.

비정상은 정상으로 가는 과정은 반드시 거친다. 그게 정상이니까 받아들여야 한다.

 

살 쪘다가 살 빼려면 인내도 필요하고 힘들듯이 지금은 마주해야 할 현실을 받아들이고, 두려워하기 보다 성난 파도가 가라앉을 때까지 위험관리를 잘 하면서 잘 버티는 것이 최선이다.

 

끝나지 않은 파티도 없지만 끝나지 않은 터널도 없다.

빨리 금리인상의 불확실성 터널이 지나가기를 기대해 본다.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