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부동산 정보

[세종시 부동산]2020년 10월 2주간 주간아파트 가격동향

복돌이-박 창 훈 2020. 10. 17. 07:27

[세종시 부동산]2020년 10월 2주간 주간아파트 가격동향

 

보도자료<알림마당<한국감정원

원>알림마당>보도자료 본문 영역 이 브라우저는 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www.kab.co.kr

□ 한국감정원(원장 김학규)이 2020년 10월 2주(10.12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9% 상승, 전세가격은 0.16% 상승했다.

?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 [전국 : 0.09%]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수도권(0.06%→0.07%)은 상승폭 확대, 서울(0.01%→0.01%)은 상승폭 유지, 지방(0.10%→0.11%)은 상승폭 확대(5대광역시(0.15%→0.18%), 8개도(0.05%→0.05%), 세종(0.39%→0.27%))됐다.

 

ㅇ 시도별로는 세종(0.27%), 울산(0.26%), 대전(0.24%), 대구(0.22%), 부산(0.18%), 강원(0.14%), 경기(0.10%), 충남(0.10%), 인천(0.08%)등은 상승, 제주(0.00%)는보합됐다.

 

-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133→136개) 및 하락 지역(22→26개)은 증가, 보합 지역(21→14개)은 감소했다.

□ [수도권 : 0.07%] 서울 0.01% 상승, 인천 0.08% 상승, 경기 0.10% 상승

 

ㅇ [서울 : +0.01% → +0.01%] 정부 안정화 대책 및 코로나發경기위축우려 영향 지속되는 가운데,중저가나 소형 위주로 상승 했으나, 강남구는 일부 재건축 위주로 매수세 감소하며 하락전환*

*6월 2주 상승(0.02%) 이후 18주 만에 하락 전환

 

- (강북 14개구 : +0.01%)노원구(0.02%)는 월계동 재건축 위주로, 중구(0.02%)는 역세권 단지 위주로, 중랑구(0.01%)는 상봉ㆍ신내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마포구(0.00%)는 지난주 상승에서 보합 전환

 

- (강남 11개구 : +0.01%) ① 강남4구 : 연이은 정부정책(7.10ㆍ8.4)과 보유세 부담 등으로 대체로 관망세 보이는 가운데, 송파구(0.01%)는 위례신도시 소형 위주로 상승했으나, 강남구(-0.01%)는 일부 재건축 단지나 대형 평형 위주로 호가 하락하며 6월 2주 상승(0.02%) 이후 18주 만에 하락 전환. 서초(0.00%)ㆍ강동구(0.00%)는 보합. ② 강남4구 이외 : 관악구(0.02%)는 봉천동 중저가위주로, 강서구(0.01%)는 염창ㆍ방화동 위주로, 영등포구(0.01%)는당산동 구축 위주로 상승

 

ㅇ [인천 : +0.05% → +0.08%]

- 부평구(0.15%)는 교통호재(7호선 연장, GTX 등)등으로 서울 접근성 향상 기대감 있는 산곡ㆍ청천ㆍ삼산동 위주로, 미추홀구(0.11%)는도화ㆍ관교동 등 정주여건 양호한 단지 위주로,중구(0.08%)는 운서ㆍ중산동 신축 위주로 상승하고,연수구(0.06%)는 송도동 신축 대단지 위주로 상승 전환

 

ㅇ [경기 : +0.09% → +0.10%]

- 용인 기흥(0.22%)ㆍ수지구(0.19%)는 그간 상대적으로 상승폭 낮았던 단지 위주로, 고양 덕양구(0.20%)는 행신ㆍ화정동 구축 및 도내ㆍ동산동 등 교통개선 기대감 있는 단지 위주로, 일산 동구(0.17%)는 장항ㆍ마두동 3호선 역세권 및 중산동 신축 위주로,의정부시(0.17%)는 서울 접근성 양호한 호원ㆍ장암동 위주로, 성남중원구(0.16%)는 개발호재 있는 금광동 구축 위주로 상승

□ [지방 : 0.11%] 5대광역시 0.18% 상승, 8개도 0.05% 상승, 세종 0.27% 상승

 

ㅇ [5대광역시 : +0.15% → +0.18%]

 

-(울산 : +0.26%) 남구(0.52%)는 신규 분양 호조 영향 있는 야음동 및 학군 양호한 옥ㆍ신정동 위주로, 중구(0.26%)는 정비사업 이주 수요 있는 교ㆍ우정동 위주로, 북구(0.18%)는 매곡ㆍ신천동 위주로 상승

 

-(광주 : +0.02%) 전체적으로 안정세 보이는 가운데, 광산구(0.03%)는 송정ㆍ신가동 위주로,동구(0.02%)는 주거환경 개선 기대감 있는 학동위주로, 서구(0.02%)는교통개선 기대감 있는풍암동과 이사철 이주수요 있는 화정동위주로 상승

 

ㅇ [세종 : +0.39% → +0.27%]

 

- 조치원읍 및 행복도시內 보람ㆍ도담동 위주로 상승세 지속되나, 최근 급등 피로감 등의 영향으로 지난주 대비 상승폭 축소

 

ㅇ [8개도 : +0.05% → +0.05%]

?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 [전국 : +0.16%]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수도권(0.14%→0.16%)은 상승폭 확대, 서울(0.08%→0.08%)은 상승폭 유지, 지방(0.15%→0.16%)은 상승폭 확대(5대광역시(0.16%→0.18%), 8개도(0.09%→0.11%), 세종(1.39%→1.37%))됐다.

 

ㅇ 시도별로는 세종(1.37%), 울산(0.46%), 대전(0.28%), 강원(0.24%), 인천(0.23%), 충남(0.20%), 경기(0.19%), 충북(0.16%), 부산(0.15%)등은 상승, 제주(0.00%)는 보합됐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145→154개)은 증가, 보합지역(22→13개)은 감소,하락지역(9→9개)은 유지했다.

 

□ [수도권 : 0.16%] 서울 0.08% 상승, 인천 0.23% 상승, 경기 0.19% 상승

 

ㅇ [서울 : +0.08% → +0.08%] 신규 입주물량 감소*, 청약대기 수요, 거주요건 강화 등으로 매물부족 현상 지속되는 가운데, 교육․교통 등 정주여건 양호한 지역, 역세권 및 직주근접 지역 중심으로 가을철 이사수요 유입되며 상승세 지속

* 서울ㆍ경기 입주물량 : 약 15만 세대(‘19년) → 약 12.6만 세대(‘20년) → 약 9.3만 세대(‘21년)

 

- (강북 14개구 : +0.07%)노원구(0.10%)는 교육환경 양호한 중계동 등 중저가 단지 위주로, 용산구(0.09%)는 이촌ㆍ서빙고동 구축 위주로, 성북구(0.09%)는 정릉동, 길음뉴타운 위주로, 마포구(0.08%)는 성산동 구축 및 공덕동 역세권 단지 위주로 상승

 

- (강남 11개구 : +0.08%)① 강남4구 : 전체적으로 매물 부족현상 지속되는 가운데, 송파구(0.11%)는 주거환경 양호한 잠실동 (준)신축위주로, 강남구(0.10%)는 교육환경 양호한 대치ㆍ삼성동 위주로, 서초구(0.08%)는 반포동 위주로 상승폭 확대됐고, 강동구(0.08%)는교육환경 양호한 명일ㆍ고덕동 위주로 상승. ② 강남4구 이외 : 동작구(0.07%)는 사당ㆍ노량진동 구축 위주로, 관악구(0.07%)는 신림ㆍ봉천동 위주로, 구로구(0.07%)는 신도림ㆍ구로동 위주로 상승

 

ㅇ [인천 : +0.13% → +0.23%]

 

- 중구(0.39%)는 영종신도시內 신축단지 위주로, 연수구(0.35%)는 주거환경 양호한 송도동 위주로, 부평구(0.27%)는 교통호재 있는 부개ㆍ삼산동 위주로, 서구(0.26%)는 청라동 신축 위주로 상승

 

ㅇ [경기 : +0.17% → +0.19%]

 

- 화성시(0.32%)는 동탄신도시 신축 위주로, 의정부시(0.32%)는, 서울 접근성 양호한 장암ㆍ호원동 역세권 위주로, 성남 수정구(0.27%)는 위례신도시 신축 위주로, 수원 장안구(0.27%)는 정자동위주로 상승폭 확대됐으나, 파주(-0.11%)ㆍ여주시(-0.04%)는 신규 입주물량 영향 등으로 하락세 지속

□ [지방 : 0.16%] 5대광역시 0.18% 상승, 8개도 0.11% 상승, 세종 1.37% 상승

 

ㅇ [5대광역시 : +0.16% → +0.18%]

 

- (울산 : +0.46%) 남구(0.65%)는 교육환경이 양호한 옥ㆍ신정동위주로, 북구(0.43%)는 주거여건 양호한 명촌ㆍ중산동 등 대단지위주로, 중구(0.39%)는 우정ㆍ복산동 등 신축단지 위주로 상승

 

- (광주 : +0.04%) 광산구(0.08%)는 신창ㆍ송정동 일대 신축단지 위주로, 서구(0.04%)는 풍암동 위주로, 동구(0.03%)는 학동 일부 신축 중형 평형위주로 상승

 

ㅇ [세종 : +1.39% → +1.37%]

 

- 매물부족 현상 지속되는 가운데, 조치원읍 및 행복도시 내 고운ㆍ도담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전체적인 상승폭 축소

 

ㅇ [8개도 : +0.09% → +0.11%]

※ 주간아파트가격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www.r-one.co.kr) 또는 한국감정원 부동산정보 앱*(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쉬운설치방법 : “구글 Play스토어” 또는 “Apple 앱스토어” 에서 “한국감정원” 검색 후 설치

 

붙임 1 : 주간 아파트 시도별 변동률 통계표

붙임 2 : 규제지역 주간 아파트 변동률 통계표

붙임 3 :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