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3연륙교 위치도 |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인천 서구 청라 지구와 ~영종도 인천공항을 연결하는 제3연륙교 사업이 '계륵' 신세가 됐다. 사업 추진이 지지 부진하면서 각자의 이해 득실에 따른 주장이 중구난방식으로 표출되고 있다.
▲ 제3연륙교 조기 개통 물 건너갔나?
최근 국토연구원은 제3연륙교 건설 사업에 대한 타당성 검토 결과를 발표해 관심을 모았다. 결론은 주변 개발 계획과 진행 속도, 주변 교통 시설을 검토해 보니 향후 교통 수요가 있다는 것이었다. 개통 시기는 당초 계획인 2014년보다 3년 늦은 오는 2017년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일단 사업을 적극 추진해 온 인천시 측은 결과가 '긍정적'이라며 "2014년 개통을 관철하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이번 용역 결과로 인해 사실상 조기 개통은 물 건너갔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실제 용역 결과를 꼼꼼히 살펴 보면 사실상 조기 개통 반대 측의 손을 들어 준 것이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연구원은 우선 인천시의 2014년 개통 주장을 일축하고 2017년 개통 의견을 내놓았다. 즉 뒤집어 보면 "개발 계획이 정상적으로 진행된다고 하더라도 교통 수요를 볼 때 2014년 개통은 불가능하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인천시가 지지부진한 영종ㆍ청라 지구 개발 활성화 및 인천아시안게임에 대비해 꼭 필요하다고 강조해 온 개통 시점을 무시했다는 점에서 파장이 크다.
게다가 현재 계획된 영종ㆍ청라 지구의 개발이 예상보다 훨씬 저조하다. 연구원의 용역 결론은 국토부 등 반대 측이 주장해 온 "교통 수요가 생기면 그때가서 검토해 보자"는 주장을 논리적으로 뒷받침해 준 것이라는 분석이 가능해진다.
인천시도 사실상 조기 개통을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 인천시 한 실무자는 연구 결과 발표 후 아시아경제와의 통화에서 "3개 기관이 종합적으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앞으로 관련 행정 업무에 참고할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긍정적이다. 조기 개통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공식 입장과는 뉘앙스가 달랐다. 인천시가 사실상 조기 개통을 포기했지만 반발을 의식해 '여론 무마용' 발언을 하면서 시간 끌기를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시는 현재 2013년까지 한시적으로 지원되고 있는 영종도 주민 통행료 지원(연 30억원 가량) 예산을 부담스러워하고 있다. 연장될 경우 10년 안에 통행료 지원액이 연 300~400억 원 대로 늘어나는데, 제3연륙교까지 생길 경우 더 큰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시 고위 관계자는 "제3연륙교 건설의 진짜 고민은 통행료 지원 예산 문제로, 어떻게 풀지 고민하면서 다양한 방법을 모색 중"이라고 말했다.
▲ 제3연륙교 둘러 싸고 '중구난방' 주장 난무
이처럼 제3연륙교 건설이 표류하고 있는 동안 각 지역의 이해 관계가 뒤얽혀 중구난방식 주장이 난망하고 있다.
인천 서구 주민들 사이에선 제3연륙교 대신 서울과 연결되는 지하철망을 구축해달라는 요구가 고개를 들고 있다. 기존의 제1연륙교(영종대교)가 가까워 제3연륙교의 효용성이 떨어지는 만큼 3500여 억원의 제3연륙교 건설 비축금을 동원해 인근 부평까지 깔리게 되는 서울지하철7호선을 연장하거나 인천지하철 2호선 지선을 만들어 달라는 것이다. 서구 한 주민은 "영종대교로 30~40분 만에 인천공항에 갈 수 있어 제3연륙교의 필요성은 크지 않다"며 "신도시 활성화엔 지하철이 최고라는 게 입증돼 있는 만큼 해당 자금으로 지하철을 깔아 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영종도 주민들 사이에선 제3연륙교 대신 기존 제1ㆍ제2연륙교의 통행료를 없애 달라는 요구가 나오고 있다. 현재도 영종대교를 통해 서울과 빠르게 오갈 수 있는데 굳이 제3연륙교를 놓아 또다시 통행료를 걷지 말고, 기존 다리를 무료화하는 데 다리 건설 자금을 투입하라는 것이다. 영종도 공항신도시 한 주민은 "현재 서울과 오가는 통행료가 7500원이나 돼 제한이 많다"며 "공항이 위치해 있는 영종도 개발 활성화를 위해선 기존 다리 통행료 무료화가 제3연륙교보다 훨씬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최근 중구 및 영종도 일부 주민들은 제3연륙교 노선 변경을 요구하기도 했다. 영종대교와 겹치므로 월미도나 인근 동구로 노선을 변경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구청은 1억원을 들여 타당성 용역까지 추진하는 등 적극 나서고 있다.
김봉수 기자 bskim@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