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투자정보...경기/양평,가평,여주,이천

성남~여주간 복선전철

복돌이-박 창 훈 2008. 1. 14. 00:22
길과 부동산⑤성남-여주간 복선전철
 
                                                                                                                           01/02 16:08  [중앙일보조인스랜드]
 
경기도 성남 판교신도시와 여주군 여주읍을 연결하는 ‘성남-여주간 복선전철 사업’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그동안 사업추진의 걸림돌로 꼽히던 예산 문제가 해결됐기 때문이다.

국회 건설교통위원회는 최근 성남-여주간 복선전철 사업비 667억원이 올해 예산안에 반영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1997년 기본 건설계획 수립 이후 지지부진했던 이 사업 추진이 탄력을 받고 있다.

한국철도시설공단 중부권PM팀 권기종 차장은 “예산 확보로 지난해 11월 말 사실상 착공에 들어갔으며, 올해 하반기 토지보상을 거쳐 2010년 완공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수도권 동남부에 신흥 주거벨트 형성될 듯

성남-여주간 복선전철은 총 연장이 53.8km에 달한다. 성남 판교신도시에서 분당신도시를 지나 광주·이천·여주로 이어진다.

이 전철이 개통되면 여주에서 판교까지 30분이면 닿고, 서울 강남까지 50분이면 오갈 수 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지금까지는 여주에서 서울 오가려면 경부·중부·영동 등의 고속도로를 타고 서울 강남까지 대략 1시간20분(러시아워 기준) 가량 걸렸다.

전문가들은 ‘성남-여주간 복선전철 구간’ 이 개통되면 그동안 전철 교통의 사각지대로 꼽혀온 수도권 동남부지역의 교통여건이 크게 개선되면서 해당지역 부동산시장에도 적지 않은 변화가 올 것으로 보고 있다. 그동안 수도권 주거벨트를 형성해온 남부축과 서부축에 이어 이 지역도 신흥 주거벨트로 각광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복선전철 신설 역세권 주변이 개통의 최대 수혜주로 떠오르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성남-여주간 복선전철 구간 개통으로 신설되는 전철역은 모두 상동·광주·대쌍·곤지암·신둔·이천·부발·능서·여주 등 9곳이다.

▲ 지난해 11월말 성남-여주간 복선전철 사업이 착공에 들어가면서 전철역 예정지 주변
부동산시장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사진은 경기도 광주시 일대.
 
복선전철 착공 업고 광주 분양시장 활기

복선전철 광주시 구간인 상동·광주·대쌍·곤지암역 주변 부동산시장은 교통여건 개선 기대감으로 벌써 햇살이 내리쬐고 있다.

입지여건상 분당신도시 가까운 광주시는 그렇지 않아도 부동산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았던 곳. 여기에 복선전철이 개통으로 판교신도시와 직접 연결되는 교통망까지 구축되면 주거여건이 더욱 좋아질 것으로 보고 일대 부동산시장이 ‘둥실둥실‘ 떠오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전철이 뚫리면 광주에서 판교까지 10분대면 닿고, 서울까지 20∼30분대에 오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우선 전철역 예정지 주변에 선보인 분양 아파트에 실수요자와 투자자들이 몰리고 있다. 현진이 지난해 12월 곤지암역 예정지 주변에서 공급한 현진에버빌(376가구)은 청약접수 결과 1.46:1의 경쟁률을 보이며 모두 순위 내 마감됐다.

기존 아파트 값도 강세다. 중앙일보조인스랜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광주시 아파트 값은 9.2% 올랐다. 경기도 평균 집값 상승률(5.6%)보다 높다.

주택업체들도 교통 여건이 나아지면 주거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고 아파트 분양 계획을 서두르고 있다. 주택업계에 따르면 올해 광주에서 나올 아파트는 모두 6개 단지, 3200여 가구에 달한다.


"서울 잠실까지 40분대" 이천도 관심 높아져

복선전철 이천시 구간인 신둔·이천·부발역 주변도 복선전철 개통의 수혜지다.

이천은 중부고속도로와 영동고속도로가 교차하고, 서울과 충주를 잇는 3번 국도와 수원~여주 42번 국도에서 가까워 기존 교통망이 좋은 편이다. 그러나 상습적인 도로교통 정체로 서울 출퇴근에 불편함이 적지 않아 그동안 부동산시장이 고전을 면치 못했던 게 사실이다.

요즘 복선전철 착공에 따른 교통여건 개선에 대한 기대감으로 일대 부동산시장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 서울 잠실까지 자동차로 1시간(러시아워 기준) 가량 걸리는 통행시간이 전철 개통으로 40분대로 단축돼 서울 출퇴근이 편해지기 때문이다.

교통여건 개선이라는 호재를 업고 아파트 매매가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중앙일보조인스랜드 통계에 따르면 이천 아파트값은 지난해 17.7% 올라 경기도 평균 상승률(5.6%)을 훨씬 웃돌았다. 땅값 오름세도 가파르다. 건교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이천 땅값은 3.4% 가량 올랐다. 같은 기간 경기도 평균 땅값 상승률보다 높다.
 
다른 수도권지역에 비해 주택과 토지에 대한 규제도 덜해 지난해 투자 수요도 많이 유입된 것으로 현지 부동산중개업계는 보고 있다.
 
신둔면 이지벤처공인 관계자는 "지난해초 서울 강남, 성남 분당 사람들이 투자용으로 주택과 땅을 잇따라 매입했다"고 전했다.

여주군 부동산시장도 전철 수혜효과로 들썩

여주군 일대 주택시장도 복선전철 착공이라는 호재를 업고 들썩이고 있다. 전철이 개통되면 현재 서울 강남까지 1시간20분 가량 걸리는 통행시간이 50분대로 단축된다.

수도권 주택시장의 소외지역에서 관심지역으로 돌아서면서 집값 상승세가 가파르다. 중앙일보조인스랜드 통계에 따르면 여주 아파트값은 지난해 18.7% 가량 올랐다. 같은 기간 경기도 평균 상승률(5.6%)을 크게 웃돈다.

신규 아파트 분양시장도 뜨겁다. 대우자동차판매 건설부문이 지난해 9월 분양을 시작한 ‘이안 여주강변’은 외지인 수요가 몰리면서 최근 100% 가까이 계약됐다. 미분양 아파트도 요즘 잘 나간다. 지난해 1월과 4월에 각각 분양에 들어갔으나 미분양됐던 성일우리미와 여주휴레나의 계약률도 요즘 쑥쑥 오르고 있다.
 
여주읍 황금공인 유보열 사장은 “전매제한이 없어 시세차익을 노린 수요도 적지 않아 아파트가 잘 팔린다”고 말했다.

신설 역세권 주변 땅도 노려볼만

복선전철 구간 신설 역세권 주변 토지시장도 수혜효과가 기대돼 요즘 투자자들의 발길로 북적이고 있다. 특히 해당 지방자치단체에서 도시기본계획을 통한 역세권 개발계획을 잇따라 내놓자 땅값도 오르고 있다.

광주시의 경우 복선전철 역세권을 상업지역으로 개발할 예정이다. 광주시는 이를 위해 2020년 도시기본계획에서 ▶장지동 광주역 예정지 일대 23만㎡(7만평) ▶실촌읍 곤지암리 곤지암역 예정지 일대 12만㎡(3만6000평)을 시가화 예정용지로 반영했다. 광주시는 이곳을 전철역과 상업, 숙박시설을 복합화하는 방식으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또 주차공간을 확보해 환승 체계를 구축하고 대중교통과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한편, 문화 및 휴식공간도 적절하게 배분할 예정이다. 시는 도시기본계획에 대한 건교부 승인 떨어지는 대로 세부 계획을 담을 ‘역세권 개발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에 착수할 계획이다.

이천시도 이천역 예정지 주변에 50만㎡ 규모의 행정타운을 조성할 예정이다. 행정타운 예정지에서 가까운 농지는 3.3㎡ 당 400만원 호가해 지난해 초보다 20% 가까이 올랐다. 이곳에서 조금 벗어난 농지도 250만원 가량 부른다.
 
지역 상인들의 반대로 주춤하고 있는 이천 패션단지 건립도 지난해 복선전철 착공을 전후로 속도를 내고 있다고 현지 부동산업계는 전한다. 이천시 호법·마장면 일대 90여만 m² 터에 추진되고 있는 이 곳에는 명품 의류 매장 등이 들어설 계획이다.

다산서비스 이종창 대표는 “이천·여주는 토지거래허가 등의 규제가 적은데다 개발재료도 많아 장기 투자를 고려해볼 만하다”고 ”올해 하반기로 예정된 토지 보상금 지급 직전이 타이밍일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보상금 지급 등 사업단계 확인해봐야

전문가들은 신설 역세권 주변지역은 사업 단계별로 선별적인 투자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한다. 복선전철과 같은 기간교통망 계획의 경우 기본계획이 확정됐더라도 보상 등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자칫 사업이 장기간 지연될 수도 있다는 이유에서다.

때문에 현재 사업이 어느 단계인지 확인해본 다음 장기간 지연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투자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것이다.

투자 타이밍도 중요하다. 대개 경전철 등 교통망 신설계획이 발표되면 일단 신설 역세권 인근지역을 중심으로 부동산값이 한 차례 뛰었다가 사업이 착공에 들어가 가시화되면 다시 한 차례 더 오르고, 개통시점에서 마지막으로 한번 더 크게 뛴다.

프라임에이치디앤씨 배성호 이사는 “사업착공ㆍ토지 보상금 지급·사업완공 등 각 사업단계 직전이 타이밍”이라며 “역세권 반경 1∼2km 이내로 투자지역을 한정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주요 아파트 분양계획


김영태 기자 neodelhi@joongang.co.kr